<앵커>
시장의 기준이 되는 국고채 3년물 금리가 두 달 넘게 요동치고 있습니다.
깜짝 놀란 정부는 긴급 조기상환에 나섰지만 연말까지 안정을 찾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꺼지지 않고 있고, 재난지원금 지급을 둘러싼 여야 간 공방이 계속되고 있어서입니다.
강미선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의 8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2달간 고공행진을 이어간 국고채 금리.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과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도, 물가 상승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국고채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국고채 값의 떨어졌다는 걸 말하는데, 즉 정부가 빚을 더 내려면 이자를 더 많이 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달 들어 금리 급등세를 막고자 정부가 4조 원을 투입하면서 국고채 금리는 2%대 아래로 떨어진 상황.
재정과 통화당국의 조치에 채권시장은 한숨 돌렸지만, 아직 안심하기는 어려운 분위기입니다.
국제유가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물가 불안 요인이 풀어지지 않는 한 국채 금리가 다시 발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준경/한양대 경제학과 교수: 떨어진다는 게 결국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되느냐에 상당 부분 달려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지금 3%대인데 이거보다 더 올라가다 내려갈 수 있고, 좀 더 내려가서 안정화될 수 있고, 어느 수준에서 안정화되는 것은 물가수준에 달렸습니다.]
또 여당이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내년 예산안에 반영키로 하면서 확장 재정으로 인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
[송준/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올해 국고채 흐름을 보면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관련된 예상이 될 때마다 올랐거든요. 앞으로 국고채 금리 얼마나 갈 것인지 예상하려면 재난지원금이 또 나올 것인가 이런 이슈가 하나 있습니다.]
정부가 이번 긴급 바이백(국채 매입을 통한 조기 상환)으로 연말 상환자금을 이미 끌어다 썼기에, 국고채금리가 또 뛸 경우 추가 대응 카드가 남아있지 않다는 점도 불안 요인 중 하나입니다.
내년 1월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국채를 대량 발행할 수밖에 없다는 예상이 커진다면 금리 상승세는 연말까지 위태로울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강미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