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스태그플레이션 '본격 경고' 코스피 3000 붕괴, 한은 금리 또 올려야 하나?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입력 2021-10-12 09:01
수정 2021-10-12 09:01
월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또다시 엄습하고 있는데요. 특히 이번 주에는 13일과 14일 양일 간에 걸쳐 발표되는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잠시 후에는 금통위도 열리는데요. 오늘은 이 내용을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 상 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안녕하십니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주 13일과 14일 양일 간에 걸쳐 발표되는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예상이 상당히 어렵지 않습니까?

-美 증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고조

-美, 13일 ‘CPI’ 14일 ‘PPI’ 상승률 연속 발표

-中, 14일 PPI 상승률 10% 상회 여부 관심

-인플레, ’일시적‘ 논쟁 넘어 본격적으로 부담

-파월 입장 선회 “인플레, 상당기간 지속될 것”

-퍼거슨 ’하이퍼 인플레‘, 로코프 ’퍼펙트 스톰‘

-헝다, 9월에 이어 10월 11일에도 이자 지급 못해

Q. 방금 말씀하신 바와 같이 미국은 인플레가 일시적이냐를 뛰어넘어 경기와 기업 실적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습니까?

-美 현지 기준, 10월 13일 ‘ 9월 CPI’ 결과 주목

-예상치 5.4%로 상승, 과연 5.5% 넘느냐 주목

-이달 발표될 3분기 성장률 크게 둔화 예상

-애틀랜타 GDP 나우, 3분기 성장률 3.7%로 하향

-테크래시, PPI 상승률 소비자에게 전가 못해

-3분기 깜짝 실적 기업 수 95.6%→29.8%

-골드만삭스,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공식 경고’

Q. 미국의 경기가 과열이 아니고 완전고용도 멀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인플레이션, 그것도 스태그플리에션 우려가 급부상하는 것입니까?

-美·中, 편가르기로 ‘가치사슬과 공급망 붕괴’

-nation to nation에서 pivot to pivot

-multi-lateralism에서 micro-lateralism

-이상기후와 재해, greenflation+agflation

-greenflation=green+inflation, 이상기후 물가

-agflation=agricuture+inflation, 농산물 물가

-세계 제조업 공장인 中, 인플레이션을 수출?

-9월 PPI 상승률 10% 상회시, 인플레 공표

Q. 공급측 인플레이션 요인 중에는 국제유가가 가장 큰 요인을 차지하고 있지 않습니까? 오늘도 WTI가 80달러를 돌파하지 않았습니까?

-스태그플레이션, 2차 오일쇼크 후 첫 발생

-2차 오일쇼크→유가 급등→스태그플레이션

-유가, 14년 상반기 100달러 붕괴 이후 약세

-BOA “올해 겨울, 유가 100달러 시대“ 재도래

-WTI, 올들어 60% 급등…배럴당 80달러 돌파

-中 주도 달러 결제 비중 축소, 원유 무기화 조짐

-유가 80달러 이상 유지, PPI 고공행진 지속

Q. ”스태그플레이션 오면 무섭다“고 하는데 그만큼 정책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죠?

-80년대초 스태그플레이션, 케인즈언 무력화

-경기부양 위해 총수요 진작, 물가 더 악화

-물가 잡기 위해 총수요 억제, 경기 더 침체

-틴버겐 정리, 정책목표대로 정책수단 같게

-인플레, 볼커 Fed의장 인플레 파이터 역할

-경기침체, “supply side economics” 대처

-<볼커의 강달러, 수입물가 하락->물가안정>

-1985년 ’플라자 합의‘ 근거, 약달러->엔 강세

Q. 방금 말씀하신 1980년대 사례를 보면 경기둔화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문제가 될 경우에는 Fed 입장에서는 물가를 잡는데 우선순위를 두지 않습니까?

-<WSJ, 테이퍼링 추진 구체적인 로드맵 예상>

-테이퍼링 추진, 올 11월 Fed회의부터 시작

-매월 150억달러 축소, 8개월에 걸쳐 완료

-테이퍼링 이후 금리인상 국면에 들어갈 듯

-<WSJ의 테이퍼링 구상, 파월의 교체설 겨냥>

-파월 의장, 이달 중에 연임 여부 윤곽 잡혀

-WSJ, 파월의 테이퍼링과 금리 불연계 반대

-<집값 급등, two speed tapering 논의 지속>

Q. 잠시 후에는 10월 금융통화회의가 열리게 되는데요. 말이 많고 탈도 많았던 8월 금리인상 이후 지금까지 모습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8월 금리인상 후 부정적 효과, 크게 나타나>

-경착륙 대책 따른 충격, 경제적 약자에 집중

-퐁선 효과, 가계부채 절대액 늘고 질도 악화

-<외국인 자금, 8월 금리인상 이후 매도세 지속>

-외국인 매도, 작년 24조->올해 37조원 달해

-원?달러 환율 1180원 돌파 후 1200원에 근접

-<강남 등 수조권 집값 상승률, 둔화되지 않아>

Q. 우리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스태그플레이션이 찾아온다면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하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韓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만만치 않아>

-성장률, 1분기 1.7%->2분기 0.8%로 둔화

-소비자물가, 7월 2.6%->8월 2.8%로 상승

-<8월 0.25%p 인상 이후 추가 금리인상 예고>

-테일러 준칙에 따른 적정금리, 2.55%로 추정

-현재 0.75%, 李 총재 ’저금리 기조‘ 언급 근거

-<5중고 닥친 코스피, 연내 3000 회복도 어렵나?>

-금리인상+신용축소+테크래쉬+경기둔화+인플레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