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투자 못 따라가는 수소정책

입력 2021-10-07 17:23
수정 2021-10-07 17:30
<앵커>

정부의 수소산업 육성 정책에 발맞춰 현대차와 SK, 포스코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미 대규모 투자에 나선 상황인데요.

이와는 대조적으로 수소 저장과 운송, 발전 인프라 조성을 위한 정부 지원은 미미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어서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모비스는 오늘(7일) 기공식을 가졌던 인천 청라 공장과 함께 울산에도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지을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투입되는 자금은 1조3천억 원.

오는 2023년 하반기부터 전지 양산에 들어가 2년 뒤, 연간 10만 기 생산체제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처럼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국내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는 이미 시작됐습니다.

국내 기업들 가운데 수소 사업에 가장 앞장서고 있는 현대차의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생산량을 30만 대로 늘리겠다며 수소연료전지 생산과 수소차 설비 투자, 충전소 설치 등에 11조 원 이상을 쓰기로 했습니다.

SK는 오는 2025년 28만 톤 규모의 수소를 생산하겠다는 목표 아래 18조5천억 원을 투입해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지을 계획입니다.

포스코는 기존의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해 탄소 배출 없이 철강을 생산하는 환원제철 기술에, 효성과 한화 또한 수소 생산과 수소 발전을 위한 대규모 투자에 동참한 상태입니다.

이들 'K-수소 동맹'이 수소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투입하기로 한 자금만 43조 원에 이릅니다.

아쉬운 건 국내 수소산업이 자동차를 비롯한 모빌리티와 에너지 분야에서는 강점을 보이고 있지만 수소 에너지 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수소 저장과 운송, 발전 인프라 분야에선 아직 갈 길이 멀었다는 점입니다.

1만여 대가 넘는 수소전기차 판매에도 불구하고 국내 수소차 충전소는 고작 72기에 불과하다는 점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웃 일본만 해도 130기가 넘습니다.

[유환익 /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정책실장 : 수소가 미래 에너지 패권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저장, 운송이나 충전소 같은 인프라는 미흡하기 때문에 범국가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수소 산업을 단순히 미래 먹거리나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로 여기고 기업들에만 맡길 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수소 생태계 조성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