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효자 사업' 부동산 PF, 대장동발 리스크에 위축되나

입력 2021-10-07 17:24
수정 2021-10-07 17:30
부동산 개발 참여, 금융권 효자 사업
"신규 부동산 PF 참여 신중해질 것"
부동산 관련 금융 규제 가능성도
<앵커>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이 금융권으로도 번지고 있습니다.

은행과 증권사 등 금융회사들은 당분간 신규 부동산 개발 사업에 선뜻 뛰어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읍니다.

문성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일반적으로 대규모 부동산 개발 사업에는 은행이나 증권사, 보험회사 등 금융회사들이 포함돼 컨소시엄을 구성합니다.

대출과 투자자 모집 등을 통한 자금 조달을 위해섭니다.

특히, 대장동 개발 사업의 경우에는 성남도시개발공사가 공모지침서에 건설업자는 제외하고, 컨소시엄 대표사를 금융회사로 하도록 명시했습니다.

대장동 개발 사업에 지원했던 컨소시엄 대표사가 모두 금융회사(메리츠증권, 산업은행)였던 것도 이런 이유에섭니다.

금융회사들에게 부동산 개발 사업 참여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통합니다.

기본적으로 규모가 수천억 원 이상 되는데다 5%대의 대출·채무 수수료도 받을 수 있고, 대출 연체율도 0.49%로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이렇다보니 금융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규모도 매년 크게 늘고 있습니다.

(16년: 47조원, 17년: 54.2조원, 18년: 61.7조원, 19년: 74.3조원, 20년 88.5조원 출처: 금융감독원)

하지만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 불똥이 금융권으로 번지면서 이런 분위기에 변화가 감지됩니다.

앞으로는 재건축·재개발 등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에 참여할 때 더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금융권 관계자: 예를 들어 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PFV)를 설립하면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이 A, B, C가 있다고 한다면, 그 중에 B나 C를 살짝 건드리거나 혜택의 크기가 100인데 50으로만 줄어도 기존에 갖고 있던 업계에서 통용되던 매우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판이 흔들리니까.]

여기에 정부와 정치권에서 부동산 PF 관련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 아무래도 정치적으로 민감하다보니까 너무 뜨거운 계란은 바로 잡을 수가 없기 때문에 차분하게 수사 결과 나오는 것 보면서 정책적으로 미비한 부분 있으면 그것은 열심히 개선해야죠.]

금융권에서 '효자 사업'으로 불리던 부동산 PF가 대장동발 리스크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문성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