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상자산 거래소의 신고가 마무리되면서, 코인시장은 '빅4' 거래소 체제로 좁혀졌는데요.
이들 거래소의 거래량이 최근 크게 급증하면서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형 거래소들과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장기적으로는 독과점 우려도 제기됩니다. 정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이른바 '빅4'거래소로 몰리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에 신고를 마친 29개 가상자산거래소 가운데 원화로 코인을 거래할 수 있도록 실명계좌를 확보한 곳은 빅4 거래소뿐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실명계좌를 확보하지 못한 고팍스 등 거래소들이 원화마켓 운영을 종료하자, 거래량이 90% 가까이 줄어든 반면, 빅4 거래소의 거래량은 크게 늘었습니다.
이미 전체 가상자산 거래업계의 96% 이상을 차지하던 빅4 거래소의 시장 비중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 국내 거래 비중을 보면 99% 이상이 원화마켓이거든요. 원화마켓이 제일 편하고, 유동성도 크다 보니까 4대 거래소로 이용자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죠.]
이용자들이 빠져나간 중소거래소의 상황은 녹록치 않습니다.
거래소의 주 수입원은 거래가 이뤄질때 발생하는 수수료인데,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곳들도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일부 거래소들은 시중은행의 실명계좌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많은 투자자들이 빠져나간 만큼 거래량 회복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 같은 추세로 4대 거래소 체제가 굳어질 경우, 업비트를 중심으로 한 독과점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고란/알고란 대표: 네 개 거래소가 남았는데 업비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7~80%가 됩니다. 지금과 같은 영업체제가 지속되면 업비트 독주체제가 굳어질 거고요. 지금까지 기업들이 보여온 게 독점이 됐을 때 비용을 올리는 것이었잖아요. 고객들에게 전가하는…]
특히 제도권에 편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코인시장의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적절한 경쟁구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