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현 정부체제내 뉴딜 펀드와 같이 지난 정부에서도 '녹색펀드', '통일펀드' 같은 정책 펀드들이 있었지만 반짝 인기에 그쳤습니다.
상품을 만드는 운용사도 투자자도, 정부 정책에 기대기 보다는 투자철학을 갖고 성장산업에 장기 투자해야 지속적인 운용과 투자가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수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08년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사에서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제시했습니다.
이후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관련주에 투자하는 펀드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정권 말기(2011년)로 갈수록 규모가 쪼그라 들었고 수익률도 -16%까지 곤두박질 쳤습니다.
당시 관련 산업을 주도하던 '녹색위원회'의 활동이 정권 후반 힘이 빠진데다 '녹색산업' 대한 적당한 평가 지표가 없는 등 전반적으로 산업에 대한 이해와 인프라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박근혜 정부 때는 '통일펀드'가 등장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이 2014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말한 뒤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퉈 20여개의 통일 펀드를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특정 산업에 대한 필수 투자 요건이나 세제혜택이 없다보니 '통일'이라는 테마보다는 KOSPI200에 가깝게 운용되면서 지금은 5개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당시 '통일'이라는 주제 자체가 국내에만 국한돼 있어 시장이 크게 형성되기 어려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박사 : (통일이)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는 아젠다는 아니었고, 정치적인 리스크나 북핵 리스크 등이 계속 이어지니.. 돈이 지속적으로 위험대비 기대수익률이 좋을 것이라는 매력이 있어야 들어오잖아요. 시장환경도 금리나 유동성 이런게 우호적이지 않아서 돈이 지속적으로 돌아오진 않았어요.]
실제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는 신영자산운용의 통일 펀드는 당시 단기간 수익을 냈던 '남북경협주'보다는 성장에 초점을 맞춘 기업들을 주로 편입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임영석 신영자산운용 이사 : (우선) 통일을 떠나서 저희 철학에 맞게 밸류에이션을 통해서 투자풀에 담고 나서 그 중에서 통일수혜 종목이나 업종을 투자하는 것이죠. 인프라투자나 내수시장이 확대되면서 소비 관련 업종들, 식료품, 의료지원 관련투자 등 목표를 갖고.. 그 당시 그런 취지로 설정했을 때 투자 목표를 이해하고 들어오신 분들이 잘 갖고 기다리시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뉴딜 펀드 외에도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한 '코스닥벤처펀드'(2017년)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소부장 펀드'(2019년)가 등장해 아직까지는 수익률 면에서 선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 펀드에 대해 한국투자증권은 정책 모멘텀이 존재하는 약 2년간만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 : 정책 초기에는 상당히 강하게 밀어부치는 경향이 있고, 정책 의지도 굉장히 강한데 3~4년차 되면 정책 의지가 초년도에 거의 반영이 되니깐..]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펀드를 선택할 때도 장기적으로 글로벌 성장성이 있는 산업인지,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시장 환경인지를 파악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