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빠르게 불어난 가계대출이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가 주최한 이번 국회정책 토론회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금융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오갔는데요.
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안일하게 대처하면 제2의 금융위기가 도래할 수 있다”
한국경제TV와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한 국회정책토론회에서 김 의원은 “코로나가 종식된다 하더라도 수많은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있다”며 이같이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기업과 가계대출 규모는 약 3,100조원.
특히 가계부채가 1,765조원으로 9.5% 늘어나,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과 같은 취약계층을 금융이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에 대한 치열한 고민들이 오갔습니다.
[오연근 한국경제TV 상무이사: 금융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영세 자영업자, 2030 청년층의 생존을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들이 포기하지 않도록 포용하는 금융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입니다.]
오는 9월이면 코로나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가 종료되는 만큼,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판단입니다.
"실물경제 회복세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늘어난 유동성을 관리해 나가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섬세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에서도 전문가들은 뜻을 같이 했습니다.
[김태현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금융위원회는 지난 3월부터 유관기관, 민간전문가들과 함께 방역ㆍ실물ㆍ금융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대응조치들의 연착륙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ㆍ사회구조의 변화에 대응할 금융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 일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위원회는 토론회 자리에서 "가계부채의 점진적인 안정화를 도모하겠다"며 "상환 능력 중심의 여신심사 관행을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코로나 후유증 최소화를 위해 당국과 국내 금융기업들이 여러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금융의 새로운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