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 불황에 한계기업·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한국경제TV가 주최한 국회정책토론회에서는 하반기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고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끝나면 취약 계층의 빚폭탄이 금융권 연쇄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말 기준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자영업자) 대출액 증가율은 15% 수준. 1년 전보다 4%포인트 확대됐습니다.
코로나19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확대에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수도 지난해 초에 비해 올 초 20%나 늘었습니다.
이미 코로나 불황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은 빚으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는 상황.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유동성 축소 국면에 접어들면 한계기업과 자영업자의 부실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반기 기준금리가 오르고,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면 이자부담이 늘고 연체율이 늘어나 금융권은 물론, 한국경제 성장에도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김영일/ 나이스평가정보 리서치센터장 : 향후에 경기 정상화 과정에서 유동성 축소 국면으로 들어가면 한계기업과 피해업종 자영업자의 부실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으므로 세심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참석자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경제의 잠재적 부실을 줄이기 위해선 금융 디지털 해소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연계 금융 강화 등을 통해 취약 차주를 지원하는 '포용금융'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박성현 / 신한금융지주 부사장: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신용분석을 하는 대안신용평가시스템을 잘 구축한다면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잃지 않고 취약계층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제도권 플랫폼 비즈니스를 소상공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도 필요합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도 "중소기업,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의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 컨설팅 등 정책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ESG 채권 발행·주선기업과 투자자에 대한 규제완화, 세제 혜택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금융당국도 코로나19 대응 한시 금융지원 조치에 대한 '질서 있는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해 소상공인 자산과 대출 연체 구조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