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길동의 모험
<앵커>
[플러스 PICK] 시간입니다.
이지효 기자, 첫 번째 키워드는 '홍길동의 모험' 입니다.
<기자>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했던 홍길동, 다들 아실 겁니다.
그간 홍길동처럼 '매도'를 '매도라' 외치지 못했던 증권가에서
'팔아라'를 외치는 모험을 하고 있는 모습이어서 키워드를 이렇게 잡았습니다.
<앵커>
매도를 매도라고 하지 못한다니, 그게 무슨 말입니까?
<기자>
국내 증권사들이 매도 보고서를 내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인데,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국내 10대 증권사의 매도 의견 비율은 단 0.3%에 불과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증권사들은 대부분 매수, 그러니까 '사라'는 말만 한다는 겁니다.
그것도 아니면 현재 주가보다 낮은 목표 주가를 제시하면서 사실상 매도 의견을 내는 방식을 취하기도 합니다.
<앵커>
매번 주로 사라고만 말하던 증권사들이 이례적으로 팔라는 보고서를 냈다고요?
배경이 궁금해지는데, 일단 어떤 종목들이 있었습니까?
<기자>
보시는 것처럼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 한화생명, HMM, 팬오션, 롯데제과, 에스오일, 삼성중공업 등이 있죠.
DB투자증권은 한화생명을 두고 "기준금리를 네 차례 정도 인상할 가능성을 선반영했다"며
노골적으로 '팔아라"라는 매도 보고서를 내기도 했고요.
나머지는 현재 주가보다 낮은 목표 주가를 제시하면서 우회적으로 '매도'를 말한 것들인데,
롯데제과나 HMM 등의 경우 사업 정상화에 대한 기대나, 컨테이너 운임 상승에 따른 수혜가
이미 반영됐기 때문에 "주가가 더이상 싸지 않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갑자기 왜 매도를 외치기 시작한 거죠?
<기자>
우선 개인투자자들의 영향력이 부쩍 커진 것이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종목 보고서는 대부분 무료로 볼 수 있어 개인 투자자들에게 투자 지침서로 통하는데,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팔 때를 알려주지 않는다"는 불만이 있었고, 이를 잠재우기 위한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공매도까지 재개됐기 때문에 부정적인 의견이 나올 수 있는 시기기도 하죠.
여기에 지난해 '불장'을 지나면서 종목 별로 급격히 상승한 경우가 많은 만큼,
매도 보고서의 등장이 주가가 고점을 찍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앵커>
개인투자자들의 영향력이 크지 않았던 과거에는 증권사들이 주로 사라는 위주의 보고서를 냈다는 걸 이미 체감하실 텐데,
그간 왜 그랬던 걸까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기자>
암묵적인 관행이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매도 리포트를 내면 기업들이 애널리스트의 탐방을 거부하는 등 리서치 활동에 불이익을 받는 사례가 있기 때문이죠.
여기에 법인 자금 운용이나 인수합병(M&A), 상장 업무 등을 따내야 하는 만큼,
기업이나 타 부서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투자자들의 항의 전화도 매도 의견을 망설이게 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데,
때문에 증권가에서는 내는 '중립', '보유' 등의 의견은 매도 신호로 해석돼 왔습니다.
<앵커>
외국계도 마찬가지 상황인가요?
<기자>
외국예 증권사들은 매도 의견을 담은 보고서를 꾸준히 내고 있습니다.
매수 의견을 냈다가 시장이나 기업 상황이 변하면 투자자들에게 '탈출' 신호를 줄 필요가 있다는 목적인데요.
3월 말 기준으로 지난 1년간 국내 증시에서 메릴린치는 전체 리포트 중 21.4%에 매도 의견을 냈고,
모건스탠리는 매도 의견 비율이 15.2%, 골드만삭스는 13.5%, 노무라는 11.4% 등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