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국내 대형 영화관들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지원을 호소했습니다.
언제 끝날지 모를 영업제한 조치로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어졌다는 건데요.
영세 자영업자들의 경우는 훨씬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박승완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주요 영화관들이 정부 방역 지침에 따라 극장 운영시간을 줄이고, 좌석 간 띄어 앉기를 시행한지도 벌써 1년이 지났습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적자 때문에 일부 점포를 정리하고 직원 수를 대폭 줄이는가 하면 관람료도 올려봤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대기업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정부 지원 대상에서 번번이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이창무 / 한국상영관협회 회장 : 극장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 지침에 철저히 방역 수칙을 준수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국가의 재난 지원에서 대기업에 속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배제되어 왔습니다.]
계속되는 위기에 지난 1분기 CJ CGV는 628억 원,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는 각각 400억 원, 19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영화관의 37%가 대기업으로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라는 점입니다.
사실상 자영업자인 이들은 업종이 영화관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부 지원을 전혀 못 받고 있습니다.
[김태기 /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종이 언제 장사가 잘 되냐면 결국 기업이 장사가 잘 되면 사람들이 돈을 써요, 월급을 받으니까… 콕 집어서 자영업 소상공인에 몇 백만 원 생색내는 정책 가지고는 (모두를) 점점 더 가난하게 만들 것이란 겁니다.]
기업이 어려워지면 결국 그 피해는 이들과 거래하는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에게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업종은 음식점과 도매업, 상품중개업 등이었는데 이들 업종의 피해액만 20조 원(19조 4,137억 원)에 이릅니다.
기업에서 근로자, 자영업자로 이어지는 돈의 흐름이 정상화되지 않는 한, 얼마 안 되는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