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故 박원순 前 서울시장이 펼친 도시재생 사업은 생활유산과 전통산업거리를 보존하면서 주거 인프라를 개선하는 게 골자인데요.
취임 전부터 이 사업의 축소 또는 폐지를 공약한 오세훈 시장이 그 흔적을 지우기에 본격 나섰습니다.
김원규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차 한 대 지나가기 빠듯해 보이는 길, 하늘에는 전깃줄 뭉치가 뒤덮였습니다.
골목길 대부분은 급경사고, 그 위에는 낡고 허름한 집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지난 2014년 서울시 1호 도시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된 종로구 창신동의 모습입니다.
이후 4년여간 총 1,100억 원을 들여 사업이 마무리됐지만, 원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합니다.
[강대선 창신동 공공재개발추진위원장: 차가 지금 올라가면 내려올 때 다른 차가 옆으로 내려 올 수가 없어요. 폭이 4m밖에 안 됩니다. 여기 주민들은 모두 도로를 원했거든요. (예산을) 사용해서 달라진 건 하나도 없는데, 그 돈이 어디 갔을까…]
청소년시설과 박물관 등에 예산이 대부분 투입됐고 계획했던 '노후하수관정비'는 지금도 추진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다 못한 원주민들은 지난해 9월 공공재개발추진위를 결성해 재개발의 선제 절차인 '도시재생구역 해제'에 힘을 쏟았습니다.
8개월이 지난 끝에 서울시 산하 기관(옴부즈만 감사위원회)이 해제를 위한 보완자료 제출을 요청한 것으로 한국경제TV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9월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에서 도시재생지역 10곳 모두 탈락한 것과 기조가 달라진 겁니다.
[서울시 주거재생과 주거재생계획팀: 현재 정비사업에 대한 관리툴이 없기 때문에…재생구역을 해제를 하냐 안 하느냐, 처리 기간이 또 있을 거니까…]
이런 변화는 "오세훈 시장의 의지가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습니다.
실제 오 시장은 후보 시절 "박원순식 벽화마을 그리기 '도시재생사업'부터 손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창무 /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공급 부족이 가격 상승을 촉발시킨다는 게 주변 현상에서 나타났고, 오세훈 시장도 공약을 내세웠지만,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공급확대를 만들어낼 거고…]
여기에 서울시는 잠실 '아시아선수촌' 아파트의 지구단위계획안을 공개하며 꽁꽁 묶은 박 시장의 재건축 정책을 뒤바꾸고 있습니다.
규제를 완화해 공급에 속도를 내는 오세훈표 부동산 대책이 시장 안정화를 이룰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김원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