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부실채권 역대 최저…코로나 대출 연장 '착시효과'

입력 2021-03-18 17:53


국내 은행들의 부실 채권(3개월 이상 연체돼 떼일 위험이 있는 대출금) 비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영향으로 대출 만기와 이자상환 유예를 연장하기로 하면서 나타난 이른바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64%로, 전년 말보다 0.13%포인트(p), 전 분기 말보다 0.01%p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부실채권 비율은 부문별로도 일제히 전년보다 낮아졌다.

기업여신(0.92%)이 0.19%p 낮아진 가운데 대기업 여신(1.23%)은 0.27%p, 중소기업 여신(0.76%)은 0.13%p, 개인사업자 여신(0.27%)은 0.08%p 각각 떨어졌다.

가계여신(0.21%)도 0.04%p 낮아졌다.

주택담보대출(0.16%)과 기타 신용대출(0.33%)이 각각 0.04%p, 0.05%p 내렸다. 신용카드채권(0.98%) 역시 0.14%p 하락했다.

지난해 말 현재 부실채권 규모는 13조9천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9.4% 줄었다.

이 중 기업여신이 12조 원으로 대부분(86.1%)을 차지하고, 이어 가계여신 1조8천억 원, 신용카드채권 1천억 원 순이었다.

하지만 부실채권 비율이 낮아진 것이 건전성 개선보다는 착시효과라는 우려가 나온다.

부실채권 비율 축소가 금융당국이 실시 중인 금융지원 영향 덕분이라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3월부터 코로나19 피해를 본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를 실시했다.

지난해 9월 종료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보이면서 올해 3월, 올해 9월 두 차례 연장된 바 있다.

1월 말 기준 만기연장 규모는 121조 원, 원금상환 유예는 9조 원, 이자상환 유예는 1,637억 원에 달한다.

은행권은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끝나면 부실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비하기 위해 대손충당금 쌓기에 주력하고 있다.

2020년 말 대손충당금 적립금은 138.8%로 2019년 말(112.1%)보다 26.7% 포인트 늘었다.

대손충당금 적립금은 부실채권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은행이 먼저 쌓아두는 돈을 의미한다.

금융당국도 지난 1월 금융지주와 은행들에게 '배당 자제'를 권고하며 충당금을 쌓으라고 요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