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대중화 ‘눈앞’…전용 플랫폼 가동

입력 2021-02-18 17:20
수정 2021-02-18 17:20
<앵커>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부족한 충전 인프라는 물론이고, 비싼 차량 가격과 짧은 주행거리 문제를 해결할 복안을 내놨습니다.

신용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족한 충전시설과 짧은 주행거리.

비싼 차량 가격과 몇 안 되는 차종.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를 선뜻 구매하기 힘든 이유입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충전기는 차량 대수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하고,

수소 충전소는 전국 어디서는 30분 이내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내놨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우리나라가 친환경차 시장의 리더로 도약하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나가자"고 밝혔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리스' 사업도 추진됩니다.

배터리 리스는 배터리가 없는 전기차를 구매한 소비자가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내고 배터리를 대여하는 것으로 전기차를 살 때 가격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바꿀 때도 목돈이 들어가지 않아 유지비 부담도 적습니다.

E-GMP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전기차 생산도 본격화 됩니다.

E-GMP는 현대차가 전기차 사업을 시작한 지 10년 만에 내놓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차량 틀)으로 배터리와 모터, 전력 시스템을 달고 있습니다.

대용량 배터리를 달고 있어 한 번 충전으로 500km까지 갈 수 있고, 급속 충전 기능이 있어 18분이면 완충이 가능합니다.

또 휠 베이스를 늘릴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바디를 얹을 수 있습니다.

기존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셈입니다.

정부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와 부품 국산화를 통해 차량 가격을 1천만 원 이상 낮추고 올해 말로 끝나는 친환경차에 대한 개별소비세와 취득세 혜택도 연장한다는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