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포자 30만 시대…"기업 채용여건 개선해야"

입력 2021-02-08 18:09
수정 2021-02-08 18:09
<앵커>

코로나19로 지난해 청년들의 일자리가 31만 명 감소했고, 구직을 단념한 '취업포기자'도 30만 명으로 늘었습니다.

문제는 청년일자리 감소가 비단 지난해 만의 일이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려는 노력보다는 기업이 청년들을 많이 채용할 수 있도록 기업활동 여건을 개선해줘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지수희 기자입니다.

<기자>

대학졸업 후 1년째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노씨는 코로나 상황이 원망스럽습니다.

[노하영(26) / 취업준비생 : 원래 일을 했다가 전공을 바꿔서 다른데 가려고 나왔다가 이게 터지면서 (일자리가) 더 없어가지고 힘들어진거죠. 나이도 마지노선이라고 해야하나.. 올해 안에 끝내고 싶은데 코로나가 안끝나서..]

한 중소기업에서 운전기사 업무를 하던 김씨는 지난해 계약만료 이후 재계약을 못해 실업급여를 타고 있습니다.

이후 새 직장을 알아보고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는 않습니다.

[김OO / 운전기사 : 코로나도 그렇고 (경영이) 안 좋아지는 시점에서는 대부분 해고 당하게 되더라고요. 바로 취업이 안돼서 어쩔 수 없이...]

지난해 코로나19 타격으로 2030 청년들의 일자리는 31만 명 감소했습니다.

아예 취업을 포기한 청년 '취포자'도 30만 명을 넘어서면서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충격에 심화됐지만 사실 청년 취업자 감소는 지난해 만의 일이 아닙니다.

'일자리 정부'를 표방하며 출범한 문정부는 정권 초기 재정으로 청년 공공일자리를 공급해 20대 일자리가 늘어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만든 공공일자리는 '단기 알바'라는 오명을 낳았고, 정규 취업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청년일자리는 매년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청년취업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기업 스스로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특히 노동시장 경직성이 청년들의 진입 자체를 막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인호 / 서울대 경제학과교수 : "한번 사람 뽑으면 절대 해고 못해" 그렇게 접근하면 뽑질 않아요. 그럼 일자리가 안만들어지죠. 제대로된 기업에서 필요한 사람을 뽑을 수 있게끔 기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합니다. 2025년까지 160조써서 190만 명.. 그렇게 계획한다고 만들어지는게 아니에요.]

중대재해법, 공정경제 3법 등 기업을 압박하는 규제나 시장을 무시한 정부의 개입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강인수 /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 : 최저임금도 초기에 너무 크게 올려놔서 (상승률이) 4년 전과 비슷해요. 하지만 부작용은 훨씬커요. 점진적으로 늘렸으면 부작용이 그리 크지 않았을텐데.. 현실을 반영 못한 정책들 속도 조절이 필요하죠. 민간에서 뭔가 할 수 있게끔 여러가지 기업관련 법들이 제정이 되는 속도를 조절 해야합니다.]

전문가들은 IT·디지털 등 미래 유망 산업들이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만큼 앞으로 청년 고용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밖에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재정부담은 크고 효과는 떨어지는 공공일자리 보다는 현금지원을 하더라도 기업으로 흘러가 기업이 고용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