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저승사자' 워런, 개미 거래제한 로빈후드에 "해명하라"

입력 2021-02-03 07:17


개미(개인 투자자)들의 반란으로 불리는 미국 게임스톱 사태에 정치권이 본격 개입하고 나섰다.

'월가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2일(현지시간) 무료 증권앱 로빈후드의 블래드 테네브 최고경영자(CEO)에게 서한을 보내 게임스톱 등 일부 주식에 대한 거래 제한 조치를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로빈후드는 지난주 게임스톱 등 일부 종목의 주가가 폭등한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해당 주식 거래를 제한해 개미들의 원성을 샀다.

기관 투자자들은 계속 해당 종목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게임스톱 공매도 투자로 막대한 손해를 본 헤지펀드들을 도와준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일었다.

CNBC방송에 따르면 워런 의원은 서한에서 "로빈후드는 투자자들을 정직하고 공정하게 대우하고, 투명하고 일관된 규정에 따른 시장 접근권을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상원 은행위원회 소속인 워런 의원은 "이 회사가 그렇게 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또 로빈후드의 거래 제한과 관련해 지난주 제기된 최소 18건의 소송에서 회사 측이 강제조정 절차를 추진한 데 대해 "로빈후드의 거래 제한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법정에서 자기 의견을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워런 의원의 서한은 로빈후드가 게임스톱에 대한 개인 투자자의 매수 한도를 100주로 늘린 날 공개된 것이다. 전날까지 로빈후드는 1인당 4주 이하만 매수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로빈후드는 게임스톱 등 일부 주식의 가격 변동성이 너무 커져 금융 당국에 예치해야 하는 주식 증거금이 급증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거래를 제한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로빈후드가 대형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금에 의존하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이들의 영향력 때문에 개미들의 매수를 제한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