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 공연 비대위 측 “대중음악 공연, 지금 숨조차 쉬기 힘든 한계 상황..차별금지 촉구”

입력 2021-01-26 17:10



한국 대중음악 공연계가 대정부 호소문을 발표했다.

공연기획사, 프로덕션 업체, 운영업체, 가수 매니지먼트사 등 관련 종사자들은 1월 26일 ‘대중음악 공연 정상화를 위한 비대위’를 발족하고 “대중음악공연의 집객 차별 금지, 스탠딩 공연장 구분 해제,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의 집객 기준 완화, 공연장 외 일반 시설에 대한 새로운 객석 지침 마련 등 대중음악 공연에 대한 차별 금지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비대위 대정부 호소문 전문.

한국 대중음악 공연계가 사회적 비명조차 내지르지 못한 채 죽어가고 있습니다. 대중음악 공연계는 이 사회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코로나19 타격을 입고 지난 1년을 빈사 상태로 보내왔습니다. 하지만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배려는 늘 뒷전이었습니다. 저희는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는 생각으로 방역 당국에 최대한 협조하고,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왔습니다. 하지만 방역 2.5단계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지금 숨조차 쉬기 힘든 한계 상황입니다.

지난해 수많은 공연 기획사와 시스템 업체가 도산했고, 최근 홍대 앞 유명 소극장 3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버티고 있는 상당수 업체들도 더 이상 상황 변화가 없으면 연쇄 도산을 맞아야 할 위기입니다. 이들이 사라진다는 것은 오랫동안 축적한 현장 노하우와 음악 네트워크가 한꺼번에 없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이 문화 인프라는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쉽게 복구할 수 없는 사회적 자산입니다. 우리가 자랑하는 K-팝의 화려한 성공 역시 이런 인프라 위에서 가능 했습니다. K-팝 산업을 가장 밑에서 떠받치고 있는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대중음악 공연의 매출은 90%이상 줄었으며, 최근의 방역 단계 기준으로는 공연기획을 해봐야 적자인 상황입니다. 이에 더해 대중음악 공연은 집객의 차별까지 받는 이중고를 겪어왔습니다. 같은 무대 퍼포먼스임에도 불구하고 뮤지컬, 연극, 클래식 공연 등에 비해 훨씬 엄격한 기준 적용을 받아왔습니다. 관객의 집단 가창과 함성 때문에, 비말의 전파 위험이 높을 것이라는 방역 당국의 예단과 편견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년간 대중음악 공연장에서 관객 간 감염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그동안 대중음악 공연계는 관객의 노래 따라 부르기와 함성 등을 최대한 자제시키고, 공연장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습니다. 저희 생업 현장이 이 사회의 어떤 곳보다 안전한 곳임을 입증하려 노력했습니다. 철저한 방역 매뉴얼은 기본이고, 관객을 상대로 한 사전 안전 홍보와 집중적 현장 감시를 해왔습니다.

모두가 다같이 어려운 지금, 저희는 특혜를 바라지 않습니다. 다만 방역 당국이 편견없이 저희를 바라보고, 최소한 타 장르 공연과 같은 기준으로 집객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랍니다. 지금까지의 사실로 본다면 공연장은 코로나19의 감염 통로가 아닙니다. 최근 뮤지컬협회에서 발표한 대정부 호소문에도 이해를 같이 하며, 객석 간 거리 두기 완화를 함께 촉구합니다.

정부에서 내세우는 비대면 공연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공연 현장의 직접성과 감동은 온라인으로는 재현할 수 없습니다. 비대면 공연은 OTT플랫폼과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분야이지 오프라인 공연을 대체 할 수는 없습니다. 비대면 공연의 일부 성공 사례를 앞세워 공연계의 고통을 덮어버리고 외면해선 안될 것입니다.

저희 대중음악 공연계는 다음과 같이 정부에 간절히 호소합니다.

대중음악 공연의 집객 차별을 없애주세요

정부는 지난 1년간 500명 이상이 모이는 대중음악 공연을 일반 행사로 분류하고, 방역 1.5단계 이상부터 지자체와 협의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가이드라인이 들쭉날쭉할 뿐 아니라, 제시 기준도 타 장르의 공연보다 훨씬 엄격한 것들이었습니다. 뮤지컬과 연극은 정부의 통일된 세칙이 있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이는 행정편의적 태도이며, 대중음악 공연에 대한 명백한 차별입니다.

정부에서 우려하는 관객의 집단 가창과 함성 등은 뮤지컬 공연장도 그 위험이 비슷하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유독 대중음악 공연만 그 위험성이 과장되어 왔습니다. 무대 출연자 규모만 보더라도 대중음악 공연은 뮤지컬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정부의 우려를 이해못하는 건 아닙니다. 그래서 그동안 저희는 공연 때마다 노래 따라 부르기와 함성을 자제시키고, 관객들도 적극 동참해왔습니다. 또한 철저한 방역 매뉴얼 마련은 물론, 관객수에 비례한 방역 관리자 배치, 방역 지침 사전 홍보 등의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 결과 ‘미스터 트롯’ 콘서트의 경우 회당 5000석 규모로 연관객 10만명을 동원하는 동안에 객석 감염 사례가 전무했습니다. 대형 공연 ‘K-방역’의 모범 사례를 만들었다고 자부합니다. 대중음악 공연계의 이런 노력을 믿고, 타 장르 공연과 집객의 형평성을 맞춰주시길 바랍니다.

스탠딩 공연장 구분을 없애주세요

정부에서 중점관리시설(다중이용시설)로 구분하고 있는 ‘스탠딩 공연장’은 대한민국에 존재하지 않는 공연장입니다. 스탠딩 공연이 가능하도록 좌석을 탈착할 수 있는 가변형 공연장이 있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정부는 이런 가변형 공연장을 자의적으로 스탠딩 공연장으로 구분해 공연을 엄격하게 제한해 왔습니다. 지난 1년간 실제로 스탠딩 공연이 열린 경우는 1건도 없습니다. 공연장 관계자들이 스탠딩 공연의 밀접 접촉 위험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스탠딩 공연장이 아니라 스탠딩 공연을 제한해야 합니다. 스탠딩 공연장 구분은 지금이라도 즉시 없애 주십시오.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의 집객 기준을 완화해주세요

100석 안팎의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은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을 지켜온 중요한 문화 생태계입니다. 최근 홍대 인디 음악씬을 대표하던 공연장 3곳이 재정난을 이기지 못해 문을 닫았습니다. 오랫동안 시민들에게 대안적 음악을 소개하던, 실험적이고 개성 넘치는 뮤지션들에겐 음악적 보루와 같은 곳이었습니다. 이 중요한 생태계가 붕괴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방역 지침대로라면,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의 생존은 불가능합니다. 100석 안팎의 공연장에서 한 자리 혹은 두 자리 띄어 앉기를 하라는 것은 공연을 하지 말라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방역 단계와 상관없이 최소 70%이상 집객을 해야만 생업이 가능합니다. 철저한 방역 지침 준수를 조건으로, 대폭 완화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공연장 외 일반 시설에 대한 새로운 객석 지침을 만들어 주세요.

일반 공연장 외에 체육시설, 전시장, 야외 시설 등에서 공연을 할 경우 객석 설치에 관한 새로운 지침 마련이 필요합니다. 대중음악 공연은 일반 공연장이 아닌 다양한 시설을 임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공간들의 단계별 세칙은 공간의 주목적인 전시나 컨벤션, 스포츠 경기 관람에 맞춰져 있어, 공연의 집객 기준으로 삼기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대규모 음악 공연은 일반 행사와는 달리 지정 좌석을 사전 예매해 100% 관객 명단 확보가 가능합니다. 또한 공연기획사들의 진일보한 방역 매뉴얼과 안전 시스템으로 객석의 안전을 충분히 지킬 수 있습니다. 체육시설과 야외 공간 등도 일반 공연장에 준하는 좀 더 구체적인 집객 기준을 적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대중음악공연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

고기호 이사(인넥스트트렌드/브라운아이드소울, 버즈 매니지먼트, 공연 제작사), 김대우 사무국장(라이브 클럽 협동 조합), 신원규 감독(플랙스앤코/미스터트롯, 뮤콘 총연출 감독), 신종길 사무국장(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이종현 PD(주식회사 엠피엠지/뷰민라, GMF 제작사), 임동균 대표(쇼플레이/미스트롯, 미스터트롯 등 제작사), 장우재 대표(인사이트 엔터테인먼트), 이용진 이사(케이문에프엔디) 등

(사진=비대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