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의료 R&D에 10년간 6천억원 투자…줄기세포·유전자치료 '판' 커진다

입력 2021-01-21 17:49
국가 R&D 투자금, 연 1,000억원 확대 목표
국가가 임상연구 관리…사후까지 전주기 안전 강화
"5년 내, 임상연구 80건·상장기업 50개 이상 목표"


정부가 연평균 22%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진출을 활발하게 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첨단재생의료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10년간 약 6,0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하고, 투자금을 연간 1,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와 21일 제1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5개년 기본 계획(2021∼2025)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줄기세포와 유전자치료 등으로 알려진 첨단재생의료는 살아있는 세포를 이식해 손상된 인체 조직을 대체 또는 재생함으로써 관련 질환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완치'하는 차세대 의료 기술이다.

인체 세포를 함유한 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조직공학제제 등의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이용한 치료도 여기에 포함된다.

정부는 지난해 8월 28일부터 시행된 '첨단재생바이오법'으로 법적 기반을 마련한 데 이어 권덕철 복지부 장관을 위원장, 김강립 식약처장을 부위원장으로 하는 '첨단재생바이오 정책위원회'를 가동하는 등 신뢰받는 첨단재생바이오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를 위한 '안전관리·치료 접근성·기술 혁신' 등 3대 추진 전략별 9개 세부 정책 과제를 설정했다.

우선 정부는 '첨단재생바이오 안전관리 제도화' 부문에서 연구 계획부터 사후 관리까지 국가 차원에서 통합해 심의·관리하는 방안을 도입하고,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전문 심사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임상연구와 치료접근성 확대' 부문에서는 일선 병원에 대한 '재생의료기관' 지정과 예산 지원을 통해 임상연구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기술 촉진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첨단재생의료 분야를 선도할 수 있도록 오는 2030년까지 10년간 5,955억원 규모의 국가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한다.

이에 정부는 국가 R&D 투자 규모를 연간 300억원 규모에서 1,000억원대 이상으로 확대해 세계적 수준과 격차가 있는 유전자치료 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또, 치료제 생산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국내에서 자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간 기업이 투자하기 어려운 제조 인프라와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도 확충할 계획이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5개년 계획의 최종 목표는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을 통해 희귀·난치질환으로 고통받는 국민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 장관은 "신뢰받는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 그간 다소 뒤처진 우리의 기술 경쟁력을 향후 5년 동안 세계 수준으로 도약시켜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며 "제1차 기본계획을 토대로 식약처 등 관계부처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첨단재생의료에 대한 기대를 현실로 바꾸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14일 복지부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 자리에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임상연구를 최소 80건 이상 진행하고 국산 유전자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도록 50개 이상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발표했다.

따라서 이번 5개년 계획으로 50개 이상의 관련 바이오벤처 기업들이 상장해 유전자치료제 등 국산 첨단재생치료제가 출시되고, 또 정부의 목표대로 첨단재생바이오 아시아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