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끼리도 호환 안 되는 인증서…빅테크는 '승승장구'

입력 2020-12-15 17:22
수정 2020-12-15 17:22
<앵커>

공인인증서 제도가 본격 폐지되면서 사설 인증서 시장 선점을 놓고 경쟁이 치열합니다.

특히 이 시장에서도 금융사들은 빅테크들과 설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범용성이 높은 빅테크들의 초반 기세가 눈에 띕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로 모든 인증서의 지위가 같아진 상황.

소비자들이 공인인증서 대신 어떤 인증서를 선택해 사용할 지가 업계의 최고 관심사입니다.

현재 빅테크들과 금융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관건은 인증서의 범용성.

인증서를 어디까지 사용할 수 있는 지가 이번 경쟁의 핵심인데, 초반 승기를 잡은 곳은 빅테크들입니다.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좋아 2,000만 건 발급을 기록하고 있는 카카오페이 인증서는 사용 기관이 200곳이 넘어 가장 많습니다.

이동통신 3사가 통합서비스를 시작한 패스 인증서도 금융사를 포함해 100여곳에서 사용할 수 있고, 지난 3월 인증서 사업을 시작해 사용처가 50여곳인 네이버도 내년까지 이를 10배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현재 인증시장에서 2,360만 건으로 발급 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토스 역시 시중은행을 포함해 사용처를 20여 곳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빅테크들이 시장 선점에 성공한 데 반해 금융사들이 자체 발급하고 있는 인증서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KB는 자체 인증서를 개발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고 신한과 하나, 농협 역시 자체 인증서를 내놓았지만 개별 금융계열사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게 약점으로 꼽힙니다.

[인터뷰] 금융권 관계자

"공인인증서 폐지를 기회로 빅테크 업체들은 인증서를 사업화 할 수 있는 준비를 차근차근 해와서 사업을 하겠다는 기조가 강한 반면, 시중은행들은 사업모델로써는 향후 발전적인 사항인거고…"

이 때문에 SC제일은행 등 외국계은행도 자체 인증서 개발 대신 토스와 카카오페이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안을 택했습니다.

[인터뷰] 김상봉 한성대 교수

"현재 은행과 빅테크간 인증에 관한 주도권 싸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사실 빅테크는 정보보호부터 해서 기술력을 많이 축적한 상태거든요. 인증서의 범위를 보면 빅테크가 이용하는 기술이 더 범용적으로 쓰이죠."

후발주자인 금융사들이 빅테크가 주도하고 있는 인증서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오려면,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