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했지만 중국 증시는 이렇다 할 강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진 상황에서 미중 갈등 격화 등의 악재가 증시의 힘을 뺄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관망하되 정부 정책에 탑승하는 전략을 가져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10일 상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80포인트(0.61%) 내린 3,234.82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무섭게 반등하며 3,500을 넘보던 지수는 이달 들어 힘이 빠지더니 시진핑 주석의 코로나19 종식 선언에도 불구하고 2거래일 째 하락하며 시원하게 치고 나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지수도 마찬가지다. 헬스케어와 IT 비중이 약 60%를 차지하며 언택트 문화 확산에 따른 수혜가 예상돼 글로벌 폭락장 이후 60% 가량 급등했지만, 이달에만 10% 가까이 조정을 받았다.
단기간에 워낙 빠르고 강하게 오른 만큼 과열을 식히기 위한 조정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그동안 중국 증시가 보여줬던 '급등 후 급락' 공식에 따라 약세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중국 정부는 시장이 급등할 때 과열을 제어하기 위한 조치를 내놓으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주범이기도 하다.
실제로 최근 10년 내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30% 이상 급등한 이후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5차례나 겪었다.
지난 2009년 11월과 2013년 2월에는 중국 정부의 부동산 과열 통제, 2015년 6월에는 장외신용 단속·규제 등이 영향을 미쳤으며, 2018년 1월에는 중국 금융당국의 규제, 2019년 4월에는 경기부양책 속도 조절 등의 악재가 증시를 끌어내렸다.
올 들어서는 지난달 24일 창업판 상하한가 제한이 10%에서 20%로 변경되자 일부 종목들의 주가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정부의 규제가 암시됐다.
지난 9일 증권시보 등 관영지에서는 '시장의 역할을 존중하지만, 방임하고 관여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공개한 바 있다.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는 대주주 주식 처분 소식도 주가가 펀더멘털 대비 과도하게 올랐다는 우려를 뒷받침한다. 주가 상승을 틈타 대주주들이 보유 지분을 매도하며 현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중국 A주를 중심으로 총 4천억 위안 규모의 대주주 지분 매도 물량이 증시에 풀렸는데, 이는 전년 한해치인 3,100억 위안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같은 내부적인 악재와 더불어 대외 변수가 시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국이 국가 보안을 이유로 화웨이뿐 아니라 중국 반도체 기업인 SMIC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면서 미중간 기술 경쟁이 정점으로 치달을 수 있어서다.
SMIC는 화웨이와 더불어 중국 반도체 자급화 계획에서 양대축 역할을 하고 있는 회사로,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큰 타격이 예상된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SMIC 주가는 관련 이슈가 불거진 이후 20% 이상 빠졌다.
전문가들은 중국 증시가 불확실성 요인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강도 높은 경기 부양책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내외 변수로 경기 회복 속도가 제한적일 수 있는 만큼 결국 시중에 풀린 자금은 중국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음달 열리는 5중전회에 주목하라는 조언이다. 국가 경제 계획을 논하는 이 자리에서는 14차 5개년(2021~2025년)계획 초안이 발표될 예정인데, 5G 통신망, 특고압 송전설비, 고속철도, 전기차 충전기, 인공지능 설비, 데이터 센터, 산업 인터넷망 등 신인프라 산업이 중점 정책으로 꼽힐 가능성이 높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의 대중 압박이 점차 비관세 영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포스트 코로나와 신냉전을 대비한 중국의 자력갱생 전략은 더 단단해질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증권, 테크, 신형인프라 등의 섹터를 중심으로 비중을 늘려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