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6개월간 유예됐던 대출원금과 이자상환이 한 번 더 재연장될 전망입니다.
정부의 이같은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은행들은 대출기업들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하는 등 보다 강도높은 리스크 관리에 나섰습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가 이번주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기업들의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 유예를 재연장하는 방안을 발표합니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린 올 초부터 6개월간 유예를 해 당장 다음 달 만기가 돌아오는데, 아직 기업들의 상환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판단에서 입니다.
그간 대출 원금에 대해서만 상환을 유예할 지, 이자까지 포함할 지를 두고 금융당국과 금융권간 이견이 있었지만 이자까지 모두 유예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은행권은 코로나19가 최근 빠르게 재확산되고 있는 만큼 금융지원이 불가피하다고 공감하지만, 향후 다가올 '연체율 폭탄'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부터 신한과 KB,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주요 5대 은행이 코로나 피해 기업에 유예해준 대출과 이자 규모는 약 39조 원.
이들 은행의 연체율 역시 지난 6월 말 0.21~0.33%에서 지난 달에는 0.23~0.36%로 약 0.0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이자 상환이 한 번 더 미뤄질 경우 기업들이 향후 은행에 내야 할 돈은 더 늘어나게 돼 이는 곧 연체율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들은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자상환을 유예한 기업들에 대해선 주기적으로 현장 점검을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업종별로 세분화해 대출자에 대한 관리 강도를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이자 상환 유예는) 어려운 소상공인들 일단 같이 사는게 중요하니까…대신 업종별로 리스크 검토를 강화해서 사전에 주시하면서…"
일각에선 지난 5월 신한은행이 가계대출 속도 조절을 위해 아파트 외 주택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했다가 하루만에 철회했던 것처럼, 은행들이 신규대출 문턱을 높일 가능성도 내놓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