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동산 세법이 갈수록 복잡해지면서, 요즘 투자자들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은행들은 자산관리 서비스를 보다 강화하고 있는데요.
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연이은 고강도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자산 처분과 새 투자처 상담을 위해 은행을 찾는 자산가들 발길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배정식 하나리빙트러스트 센터장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서 증여문제, 처분을 어떻게 할지 시기와 방법, 효율적인 관리와 승계문제까지 포괄적인 고민들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상담건도 많아졌고…”
어떤 지역의 물건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처분하느냐에 따라 투자자가 부담해야 할 세금 액수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들은 앞다퉈 고객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최근 하나은행은 100년 리빙트러스트 센터를 출범하고 세무사, 변호사 등 전문인력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컨설팅 영역도 더 확대했는데, 부동산 자산의 처분 시기와 방법을 조율하는 것은 물론이고 건물 신축이나 리모델링의 전 단계를 관리·지원하는가 하면, 상업용 건물의 시설점검, 유지보수를 도맡아 진행하기도 합니다.
NH농협은행 역시 NHall100자문센터를 확대 개편하고 언택트 시대에 맞춰 화상으로도 자산관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각종 세미나를 개최하는 은행들도 부쩍 늘었습니다.
신한은행이 지난 8일부터 사흘간 웹세미나를 개최한 데 이어, KB국민은행이 오는 22일 절세와 부동산, 주식 관련 유튜브 세미나를 계획하고 있는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인터뷰> 신한은행 관계자
“화상상담방식의 웹세미나로 진행된 컨시어지 뱅카스는 참가신청 5분 만에 마감되는 등 고객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앞으로도 고객과 소통 가능한 세미나를 마련해…”
전통적 이자수익으로 버텨내기 어려운 은행들이 고객들 수요가 높은 자산관리 영역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제로금리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은 올 들어 14조원 가량 쪼그라든 상황.
여기에 각종 사모펀드 관련 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맞춤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 이탈을 막겠다는 전략도 깔려있는데, 은행권은 앞으로 이러한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