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다시 확산 중인 가운데 이달 들어 국내에서 확인된 해외유입 확진자는 421명(1∼16일)으로 집계됐다,
이들로 인한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방역당국은 해외유입 감염자의 경우 검역 또는 2주간 자가격리 과정에서 걸러지기 때문에 지역전파 위험이 거의 없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최근 공항에서 격리장소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또 격리생활을 하는 도중 주변에 전파한 사례가 확인되면서 해외유입이 국내 코로나19 확산의 또 다른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들어 해외 입국자로 인한 지역사회 2차 감염 사례가 3∼4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공항으로 입국자를 데리러 가거나, 격리생활을 지원하며 접촉한 사람들로 파악됐다. 2차 감염자 중에는 입국자의 가족도 포함돼 있다.
이와 별개로 울산에서는 지난 11일 우즈베키스탄에서 입국한 여성을 KTX 울산역에서 만나 집까지 데려다준 그의 직장동료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현재 검역단계에서 증상이 없는 입국자의 경우 곧바로 자택이나 시설 등 격리장소로 이동하도록 조치한다. 공항에서 격리장소까지는 개인 차량이나 해외 입국자용으로 지정된 공항버스, KTX(전용칸)를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위의 사례처럼 개인 차량을 운전하는 지인이나 가족. 이동과정에서 우연히 접촉하는 사람들 가운데 얼마든지 추가 감염자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이렇게 2차 감염된 사람의 경우 의심 증상이 나타나거나 확진 판정을 받기 전까지는 지역에서 평소대로 사회·경제적 활동을 하기 때문에 자칫 'n차 감염'의 고리가 될 가능성도 있다.
입국자가 무증상 상태라면 위험성은 더 크다. 특히 자택에서 가족과 함께 머무는 경우 자가격리 생활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가족 간 전파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격리대상자는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해야 하지만, 한 집에서 공간을 철저하게 분리하는 일이 쉽지 않은 탓이다.
방역당국이 해외유입에 따른 지역사회 전파 위험은 매우 낮다면서도 입국자들에게 개인물품 사용, 외출금지 등의 자가격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감염병 전문가들 역시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촘촘한 입국자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접촉자를 최대한 만들지 않도록 입국자를 격리 장소까지 지역사회에 노출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또 만약 독립된 공간에서 격리생활을 하는 것이 어렵다면 최소 비용으로 별도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격리시설을 확충하는 섬세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0시 기준으로 해외유입 확진자는 총 2천5명을 기록해 2천명을 넘었다. 전체 누적 확진자(1만3천672명)의 14.7% 수준이다.
코로나19 해외유입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