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한 것은 미국의 개입을 피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정 수석부의장은 27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 신문 인터뷰에서 “미국 정찰기가 감시하는 가운데 북한이 실제 무력을 행사하는 군사도발에 나설 경우 미군 개입을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해 김 위원장이 군사행동을 보류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대북 전단 논란을 계기로 남측을 압박한 것은 “북한 내 불만을 외부로 돌리지 않으면 안 됐기 때문”이며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를 반영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한국에 압박하려는 노림수도 있었다”고 분석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남북경제협력 사업 재개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한 약속이라며 한국 정부는 더 절실한 태도로 미국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앞서,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폭파 다음날인 17일 발표한 대변인 입장문에서 “구체적인 군사행동 계획들이 검토되고 있다”며 “접경지역 부근에서 정상적인 각종 군사훈련을 재개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정세현 수석부의장은 미국 책임론도 거론했다. 정 수석부의장은 “미국이 1990년대 초에 북한과 수교를 해줬으면 한반도 냉전 구조가 해체됐을 것”이라며 북핵 문제와 관련해 미국 책임론을 주장했다.
또한 “(미국은) 북핵 문제가 일어나서 무기 시장을 유지하는 게 낫겠다고 판단했는지 모르겠지만 군·산 복합체가 바라던 대로 북한은 핵보유국이 됐다”며 “사실상 핵보유국을 만들어놓은 것은 미국의 핵정책이다. 미국이 (북한과) 수교를 해주고 끝냈으면 이런 불행이 안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