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이 아닌 동남아시아에서 왔을 가능성을 중국 연구진이 제기했다
4일 온라인 매체 펑파이(澎湃)에 따르면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의 스정리(石正麗)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중국 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의 기원과 종간 전염'이라는 내용을 논문 사전인쇄 사이트 'BioRvix'에 공개했다. 이 논문은 학계의 검증을 거치지는 않았다.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해외 기관과 공동 진행한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관박쥐(horseshoe bat)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우한바이러스연구소 과학자들이 사용한 박쥐 샘플은 중국 서남부 윈난(雲南)성에서 채취한 것이다. 하지만 연구진은 논문에서 많은 샘플 채취 장소가 미얀마와 라오스 국경에서 가까우며 윈난에서 발견한 박쥐 대부분이 이들 나라에서도 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연구진은 이런 점을 근거로 내세워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또는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조상 바이러스의 기원지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논문은 향후 샘플 채취와 바이러스 발견을 위해 중국 남부와 서남부 외에도 중국과 비슷한 종의 박쥐가 서식하는 이웃 국가를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모든 알려진 박쥐의 배열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이 아니라 미국 등 다른 지역에서 비롯됐을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데 이번 논문은 동남아 발원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한 것이어서 관심을 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스정리 연구원은 연구소 바이러스 유출설의 중심에 있는 인물로 박쥐 관련 바이러스 전문가로 유명해 '배트 우먼'으로 불린다.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서 인공적으로 합성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돼 확산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연구소 측은 이를 부인했다.
스 연구원은 최근 논문에서 관박쥐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일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 박쥐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다양한 변이가 일어나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규명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