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중소 게임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침체기를 맞은 국내 게임산업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유오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년에 한 번 정부가 발표하는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입니다.
게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정기 발표지만 올해는 의미가 남다릅니다.
중독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강했던 게임이 언택트 시대의 대표적인 여가로 급부상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계획안에는 '게임물 내용 신고제도'나 '등급분류제도 수정' 등의 대책이 담겼습니다.
게임 내용의 경미한 수정은 신고의무가 면제되고, 같은 내용의 게임이라면 플랫폼별로 등급분류를 받아야 했던 불편함이 줄어들어 게임업계는 일단 환영하는 분위깁니다.
<인터뷰> 게임업계 관계자
"새로 아이템을 출시하려는데 게임 내용 수정 신고를 하려면 시간이 걸리겠죠. 그만큼 빨리 못 파니까 매출에도 영향이 있고요. 그런데 수정을 편하게 만들어주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창업과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단계별 지원 강화에 대해서도 고무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돈 되는 게임 개발에만 몰두하던 풍토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게임이 나올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기대감 때문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 주도의 게임산업 진흥정책이 제대로 실행되려면 예산 확보와 정책적 연속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위정현 /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교수(한국게임학회장)
"차기정부와 게임정책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또 실행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코로나 사태로 게임산업의 인식전환이 이뤄지는 가운데 규제 개혁과 투자 확대로 우리 게임업계가 침체기를 탈피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유오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