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發 부동산 위기, 경제위기로 번질 가능성 높아"

입력 2020-04-27 13:34
건산연, 사스·경제위기 당시 부동산 경기 파급효과 분석
거래량 감소→민간소비지출 감소 예상
생산유발효과 4.6조원↓, 고용 10만명↓ 예상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부동산 경기 위축이 경제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사스 발병과 외환위기·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주택 거래량이 감소할 경우 민간소비지출은 최대 1.50%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산연은 거래량이 사스 발병 당시 수준(3.0%)으로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액은 5,150억원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산업 생산유발효과는 7,400억원, 부가가치는 1조9천억원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자리는 1만6천개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위기 수준(19.8%)으로 거래량이 감소하면 연간 민간소비지출의 실질 금액은 3조2천억원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4조6천억원, 부가가치는 12조2천억원 감소할 전망이다. 일자리는 최대 10만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 경우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의 타격이 극심할 전망이다. 임차자 어려움 증가, 거래 감소, 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증시보다 하락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미국, 영국, 일본 등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은 대부분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인 리츠 지수가 증시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일본 리츠 지수는 올림픽 연기로 5개월 만에 절반 수준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 사례를 종합하면 우리 부동산시장 침체는 시작 단계로 볼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경제위기 전이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부동산시장을 방어하기 위한 단계별 정책 수단 도입이 검토돼야 한다"고 전했다.

건산연은 부동산 시장에 금융·세제 정책을 추진해 수요자를 위한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기적으로는 사업자금·생활자금 목적에 한해 한시적 LTV 확대, 단기적 채무 유예·조정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사업자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기존에 계획된 개발계획 조기 추진, 정비·분양사업에서 기존의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 경기 회복기의 주택 부족 문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허윤경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가져올 메가트렌드 전환은 피할 수 없다"며 "도시 인근 물류인프라 확충, 저이용 부동산 용도변경, 해외기업 유턴 등에 정책적으로 지원해 산업구조 개편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동시에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