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착성 활액낭염은 50대 장년층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여 오십견이라 불린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십견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유착성 활액낭염은 노화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어깨 사용, 운동 부족 등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다.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견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되어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며 관절운동의 제한이 나타나는 것이 주 증상이다. 또한 심한 통증, 야간통과 같은 운동 제한을 보이며 특히 누워 있는 자세에서 통증 및 불편감이 심해지며 야간에 발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수면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회전근개 손상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팔 자체를 들어 올리기 힘들 정도로 극심한 통증과 함께 운동 제한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달리 회전근개 손상은 통증은 느껴지지만 팔을 들어 올리는 등 운동 기능은 가능하다.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시작한다면 비수술적 치료로도 충분히 통증 완화 치료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짧아지고 굳어진 인대를 늘리고 관절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도록 관절 운동 치료, 도수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중 체외충격파는 인대나 힘줄을 구성하는 콜라겐 섬유소를 자극해 조직의 재생을 효과적으로 돕는 치료 방법이다.
선정릉역 참시원정형외과 임동선 원장은 “컴퓨터 타자를 칠 때 팔을 상체 쪽으로 밀착하거나 팔꿈치를 책상에 올려놓는 자세를 많이 취하는데, 이는 어깨에 부담이 큰 자세로 근육의 경직과 관절의 염증을 유발한다.” 며 “불편하더라도 업무할 때 신경써서 바른 자세를 잡는 게 중요하다” 고 이야기했다. 이어 “평소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어깨 통증이 거의 없는 범위 안에서 근력강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해야 한다” 고 조언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착성 활액낭염의 증상이 있다 해도 증상이 심해지기 전까지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형외과적 질환은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고 통증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