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제공하는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확인할 수 있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통계가 실제 미분양 주택수와 큰 차이가 난다는 지적이 여전히 나오고 있다.
현재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통계는 각 시·군·구가 건설 사업자들에게 제공받은 일방적인 데이터에 의존해 만든다.
아파트 가격 하락을 우려해 허위로 축소 보고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한다.
이로 인해 아파트 가격이 현재 가치보다 높게 평가되는 가격 왜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 주택 수요자들은 시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가치보다 높은 가격에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게 되는 피해 사례도 나올 수 있다.
여기에 미분양 통계가 부정확하면 현실에 맞지 않는 수요·공급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게 부동산 업계의 주장이다.
국토교통부가 매달 발표하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도 해당 자료를 기반해 만든다.
이에 따라 미분양 통계를 분양 입주 시기와 분양가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건설사와 여신 평가 기준으로 삼는 금융기관들도 피해를 볼 수 있다.
<▲ 출처: 빅테크플러스>
현재 미분양 통계가 얼마나 부정확한지 실제 사례를 분석해봤다.
부산시 동구 좌천동 서린엘마르더뷰 아파트를 살펴봤다.
지난해(2019년) 11월 기준 국토부 통계 자료에는 총 257가구 모두 분양이 완료됐다고 나왔다.
하지만 부동산 빅데이터 프롭테크(Prop Tech) 업체 빅테크플러스가 분석한 분석한 결과는 달랐다.
부동산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소유자를 확인해 미분양 여부를 확인했다.
그랬더니 총 257가구 중 59가구가 미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사인 자연과도시가 미분양된 물건을 소유하고 있어 통계에 집계되지 않은 것이다.
같은 기간 부산시 북구 구포동 구포봄여름가을겨울2차 아파트 사례도 살펴봤다.
국토부 통계에서는 총 231가구 모두 분양된 것으로 집계됐지만, 실제는 미분양 141가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역시 시행사인 수영주택건설이 물건을 보유하고 있었다.
함배일 빅테크플러스 대표는 "시공사와 시행사, 분양대행사에게 맡겨놓은 미분양 물건까지 파악해야 미분양 통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도 미분양 통계와 관련된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동산거래 관리시스템(RTMS)를 통해 신고된 '분양계약 실거래 데이터'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올해 안에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