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구성한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에 대해 원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오늘(6일) 발표했다.
조사단은 "발화지점 배터리가 소실돼 원인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종합적인 조사·분석을 근거로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히고, "충남예산, 강원평창, 경북군위, 경남김해는 유사 또는 동일사업장에서 발화지점과 유사한 방전 후 저전압, 큰 전압편차를 보인 배터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배터리 이상을 화재원인으로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또, 경남하동은 노출된 가압 충전부에 외부 이물이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지난 조사위 결과 사고 사업장의 운영기록 등을 분석하고 현장조사와 배터리 해체·분석, 유사 ESS현장 검측, 입체 단층 촬영(3D X-ray CT) 검사 및 검증시험 등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다"고 덧붙였다.
각 화재 발생 ESS지역에 대해 조사단이 밝힌 원인은 아래와 같다.
① 충남예산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됐고,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내부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흔적을 확인했으며,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 동일시기에 설치된 인접 ESS 사업장에서, 유사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수거하여 해체·분석한 결과 일부 파편이 양극판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배터리 분리막에서 리튬-석출물이 형성된 것도 확인했다.
② 강원평창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으로 분석됐으며, 과거운영기록에서 충전 시 상한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 현상이 발견됐었고, 특히, 이 경우에 배터리 보호기능도 동작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했다.
③ 경북군위
폐쇄회로영상(CCTV)과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됐고, 현장조사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내부 발화시 나타나는 용융흔적도 확인했다. 또, 사고사업장에서 전소되지 않고 남은 배터리 중 유사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해체·분석한 결과, 음극활물질 돌기 형성을 확인했다.
④ 경남하동
2열로 구성된 ESS 설비 중 한쪽에서 급격한 절연성능 저하가 먼저 발생했고, 이후에 다른 쪽의 절연성능도 서서히 저하된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배터리 이상으로 지목할 수 있는 운영기록은 확인되지 않았고,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영향 가능성도 현장조사 결과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
⑤ 경남김해
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CCTV영상)하고 시스템 운영기록(EMS)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됐으며, 그간의 운영기록을 분석한 결과, 6개월 동안 화재가 발생한 지점의 배터리들 간에 전압 편차가 커지는 경향도 확인했다.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 동일시기에 설치된 유사 ESS 사업장에서 유사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수거해 해체·분석한 결과, 양극판 접힘현상이 발견되고, 분리막과 음극판에 갈변·황색반점이 확인돼 이를 정밀 분석한 결과 구리와 나트륨 성분 등이 검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