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에서 불났다”...업계 "해외는 화재 0건"

입력 2020-02-06 17:41
수정 2020-02-06 17:15


<앵커>

‘ESS 화재사고 조사단’이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ESS 화재 원인을 ‘배터리 이상’ 때문인 것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앞서 1차 조사 때와는 다른 결론에 배터리 업계의 ESS사업 재건에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송민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ESS 화재가 발생한 곳은 충남 예산과 강원 평창, 경북 군위 그리고 경남 김해와 하동 등 모두 5곳입니다.

정부가 구성한 2차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오늘(6), ESS 화재 원인을 제조사의 ‘배터리 이상’ 때문인 것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싱크> 김재철 / ESS화재사고 조사단 공동단장

“운영 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점으로 분석됐으며 과거 운영 기록에서 충전 시 상한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조사단은 배터리 결함으로 결론 내린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먼저, 충전율을 제한해 낮은 상태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충전율을 높인 후 화재가 발생한 점과 만충에 가까운 조건에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했을 때 배터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할만한 근거를 확인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또, 화재로 배터리가 소실돼 직접 원인을 규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고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성해 조사했기 때문에 1차 조사 당시보다 더 면밀히 분석했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싱크> 문이연 / ESS화재사고 조사단 공동단장

“사고 현장의 운영 기록을 분석하고 현장조사 배터리 해체 분석, 유사 ESS현장 검증, 입체단층 촬영검사와 검증시험 등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앞서, 정부가 23건의 ESS 화재에 대한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을 당시, 배터리보호시스템 미흡 등을 요인으로 지목하긴 했지만 배터리 셀 결함 자체는 화재 원인이 아니라고 판단한 바 있어 이를 뒤집는 결론이 나온 셈입니다.

조사단은 배터리 충전율을 최대 90%까지로 제한하고, 옥내 설비들은 화재 대처가 쉬운 옥외로 이전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배터리 업계는 수긍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ESS화재 5곳 가운데 3곳에 배터리를 납품한 LG화학은 정부 조사단 발표 직후 “배터리가 ESS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넉 달 동안 가혹한 환경에서 실제 사이트를 운영했지만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고, 조사단이 밝힌 양극 파편이나 리튬 석출물 등은 화재의 일반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나머지 화재지역에 배터리를 납품한 삼성SDI도 “배터리와 화재의 인과관계는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전화인터뷰> 업계 관계자

“같은 배터리라고 하지만 사이트 운영 현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배터리가 적용됐다고 해서 문제가 있다고 하기에는 논리비약이 너무 많은 거예요”

앞서, 두 회사는 배터리 화재 방지 대책을 이유로 5천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반영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 발표로 배터리 보상 규모나 계약 해지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포스트 반도체’로 불리는 배터리 업계의 앞날에 난항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송민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