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은행들이 올해 '소비자보호 강화'를 경영화두로 정하고 조직개편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DLF 사태에 따른 후속조치인데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지적이 적지 않습니다.
권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새해 들어 은행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소비자보호 관련 부서를 격상시키고 있습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소비자보호그룹과 소비자보호본부를 각각 신설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전담 임원을 새로 뒀고, 우리은행 역시 사람과 조직을 바꿀 예정입니다.
지난해 DLF 사태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은행들이 신뢰 회복 제고에 나선 겁니다.
하지만 매번 사고가 나야 수습에 나서는 은행 행태에 소비자 시선은 곱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상임대표
"금융소비자보호법 통과됐고, DLF대책으로 금융위가 권고했던 내용도 다 있고 하니까 강화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법과 대책에 쫓긴 은행들이 급조한 립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오는 16일 금융감독원은 DLF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경영진에 대한 제재수위를 결정합니다.
그런데 앞서 우리금융 임원추천위원회가 손태승 회장 연임을 확정한 것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또 올해 지점 수와 인력을 줄이는 등 조직슬림화 작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먼저 최근 5년 동안 은행 점포 수가 700곳 가까이 사라졌는데 올해 100곳 정도가 추가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다음으로, 주요 은행들이 지난해 희망퇴직자가 2천 명에 달했는데 올해 비슷한 수준이 회사를 떠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점포와 인력 감축은 고객 접점 감소로 이어져 소비자 편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미 핀테크 기업 증가와 인터넷은행 가세로 비대면 시장을 사실상 내준 상황.
여기에 대면 시장 마저 빼앗길 경우 그동안 은행들이 이자장사로 땅 짚고 헤엄치던 호시절은 막을 내릴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