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을 맞아 오는 1월 10일(금)부터 3월 9일(월)까지 세종문화회관에서 <칸딘스키 미디어아트 & 음악을 그리는 사람들>전이 개최된다.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는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와 함께 20세기 가장 중요한 예술가 중 하나로 불리는 화가이자 예술 이론가이다. 미술과 음악의 콜라보레이션을 주제로 하는 이번 전시에서는 칸딘스키의 작품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100여 년 전 칸딘스키의 예술적, 철학적 고찰이 21세기의 미디어 아트와 음악을 만나 재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전시는 미술과 음악의 융합을 끊임없이 추구했던 칸딘스키의 예술 이론을 2020년에 적용한다. 세종미술관 1관에서는 칸딘스키에 초점을 맞춘 '뉴미디어아트 전시관'으로 꾸며지며 2관은 '음악을 그리는 사람들'을 테마로 대중음악을 그리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김찬용 도슨트의 해설이 '큐피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어 전시를 보다 풍성하게 채우며, 칸딘스키의 추상회화라는 난해할 수 있는 미술의 한 영역을 재미있고 쉽게 접해볼 수 있다.
'칸딘스키와 뉴미디어'를 주제로 하는 세종미술관 1관에서는 칸딘스키의 회고전 포스터와 판화 등의 아카이브와 디지털 프린팅으로 재현한 원화들을 통해 미술사적 관점으로 칸딘스키의 예술관을 살펴본다. 이후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Composition VIII'가 해체되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비디오아트 섹션이 마련된다. 또한 칸딘스키가 러시아 작곡가 무소르그스키의 피아노곡 무대를 제작했을 때 남겼던 에스키스를 재해석한 김소장실험실의 '무대2020'과 관람객이 직접 작품으로 들어가 LED 전구로 구현된 칸딘스키의 색감들을 체험할 수 있는 오순미의 '봉인된 시간_과거'를 만나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대형 미디어 룸에서는 칸딘스키와 무용, 현악의 중첩이 이루어진 미디어아트 작품 '칸딘스키의 정신'이 상영된다.
세종미술관 2관에서는 콰야, 정상윤, 스팍스에디션 등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일러스트레이터 콰야는 밴드 잔나비의 앨범 커버 원본 14점과 함께 음악을 주제로 한 신작 17점을 선보이며 정상윤은 본인의 과감한 컬러로 재해석한 칸딘스키의 초상화 등 현대음악의 강렬한 비트에 그의 에너지를 더한 작품을 전시한다. 본 전시를 위해 두 일러스트레이터는 라이브 퍼포먼스를 진행한다 (자세한 일정은 홈페이지 참조). 또한, 래퍼 로꼬와 10cm, 장범준 등 다수의 아티스트와 작업한 디자인 아트웍팀 스팍스에디션은 10cm의 앨범을 위해 제작한 조각품 등 아티스트와 협업한 아트웍 뿐만 아니라 칸딘스키의 청기사파 시절을 연상시키는 입체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미술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의 즉흥 연주곡 역시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미취학 아동부터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칸딘스키를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영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춤추는 그림 속의 선과 모양'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칸딘스키의 점˙선˙면과 다채로운 재료를 투명 용기에 넣어 타악기 웨이브드럼을 만들며 칸딘스키의 작품을 스스로 재해석할 수 있다. 또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은 '뉴미디어 : 21세기 칸딘스키'를 통해 디지털카메라, 슬라이드 영사기, 무대조명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전달하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아보고 빛의 삼원색과 색의 삼원색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칸딘스키의 예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어토론 프로그램 역시 진행한다.
이번 전시를 주관하는 글로벌교육콘텐츠(GECC)의 유유진 대표는 "금번 <칸딘스키 미디어아트 & 음악을 그리는 사람들>전시는 추상미술의 대가 칸딘스키가 표현하고자 했던 시각의 멜로디를 확장한 공감각적인 작품들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미술 강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칸딘스키 미디어 아트 & 음악을 그리는 사람들>은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되며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다. 관람권 예매는 인터파크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