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서울아트쇼가 주목한 이수빈 화가의 ‘흔적의 기억 : 시간’

입력 2019-12-11 15:08


닥종이에 호분과 안료용 금을 먹여 겹겹이 치고 올리는 채색으로 현대 한국수묵채색화에 신선한 감수성을 안긴 화가 이수빈 작가가 12월 21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될 <2019 서울아트쇼>에 선을 보인다. 한국미술을 상징하는 중견·신진 작가들의 작품부스전인 이번 아트쇼에 ‘흔적의 기억 : 시간’의 연장선인 대표작들을 소개할 이 작가는 지난 5월에는 스위스 취리히의 Gallery SON's에서 한국화의 새로운 표현기법이 지닌 잠재력과 가치를 입증해 유럽미술계의 주목을 끈 바 있다. 금으로 상징되는 가치를 입혀가며, 유년기와 현재의 기억이 쌓아 올린 삶과 일상을 그림에 함축해 보여준 이 작가의 소중한 흔적들을 되짚어본다.

국내 120여 개 갤러리와 해외 10여 개 갤러리 부스전이 될 <2019 서울아트쇼>는 한국미술가들의 독창적인 행보와 작품의 개성이 돋보이며 올해로 8회를 맞이한다. 쟁쟁한 참여자들 중 한국화라는 카테고리를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아티스트 중 한 사람이 화가 이수빈 작가이다. 한국화는 닥종이 한지 위에 붓과 먹, 물감이 번지는 궤적을 따르는데, 닥종이에 호분을 올려 금빛 색을 입히고 배어나오는 색 위에 두드려 올리는 그의 채색법은 전통을 계승한 현대수묵화에 표현과 기법의 참신성을 더해 준다. 한국미술의 독창적인 재료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해, 고유의 영역에 들어선 이 작가는, 기법 외에도 오랜 숙고를 거쳐 추억이나 상흔일 수도 있는 기억을 눈에 보이는 흔적으로 새긴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기억의 가치를 보여주고자 모든 사람들이 지목하는 가치를 상징하는 물질인 금을 사용한 것은 보편적인 판단이지만, 금이 갖고 있는 빛나는 속성이라든지, 바래거나 변질되지 않는 성질을 인간의 기억에 대입한 점은 그의 새로운 해석에 속한다. 기억은 꺼낼 수도 묻어둘 수도 있지만, 은연중에 우리의 행동 속에서 시간에 퇴적되며 기억된 요소들은 흔적을 남긴다.

이런 오랜 생각을 거쳐 이 작가는 그 흔적을 끝없이 반복되는 치고 올리는 작업 과정의 ‘흔적’ 을 통해 완성품인 그림으로 만들어 냈다. 금은 수단과 가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며, 실은 시간의 흐름을, 종이와 천은 기록을 각각 상징하며 인간의 공간은 캔버스의 종이를 지탱하는 나무틀 안에 고정된다. 그렇기에 이 작가의 작품에서 ‘기억의 흔적’ 이라는 관용적인 표현은 자연스레 ‘흔적의 기억’ 으로 바뀐다. 위에서 아래로 채색하는 것이 아니라, 색은 금맥을 캐내듯 안에서 밖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이 작가는 종이를 겹쳐 빛이 희미하게 드러나는 한지를 이미지 왜곡 혹은 장막에 가려진 상황으로 재해석하기도 한다. 작가들은 작품을 하다 보면 문득 끝없이 반복되는 작업을 돌아보며, 이 과정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일이 많은데, 그러한 의문을 이 작가는 일상과 관계성, 환경과 상황에서 개개인이 받는 영향으로 연결하며 해답을 찾았다고 한다. 그림의 소통과 영향력은 생각보다 크기에, 그림을 보면서 생각을 확장해 더 가치 있는 선택을 하자는 메시지를 담은 이 작가는 대중적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간에 자신의 그림을 담는 것을 좋아한다. 작가로서 치열하게 고민하며 기억의 프레임을 덧씌우는 과정에 있던 2018년 가을에는, 같은 공간에서의 같은 치료행위가 삶과 죽음이라는 상반된 현상을 모두 만들 수 있는 병원을 전시장으로 택했다. 그렇게 이 작가는 국립중앙의료원 본관 3층 갤러리에 초대전을 열어 병원의 소독약 냄새를 휴식과 치유의 향기라는 프레임으로 바꾸어 놓기도 했다.

이처럼 작가의 주관에 따라 기억은 숨겨지거나 반대로 선명하게 각인되기도 하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억이 입혀지기도 한다. 그래서 이 작가는 수없이 두드려 색이 배어나오도록 한 자신의 작품들의 테마가 ‘흔적’ 이자 그 흔적들이 종이 위에 각인되면서 남긴 ‘기억’ 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그 흔적의 기억들은 금에 버금가는 소중한 가치가 있으며, 금이 의미하는 이상으로 더 많은 가치들을 보여주기 위해서 작품을 금으로 물들인다는 작가의 코멘트를 더욱 설득력 있게 한다. 또한 이 작가는 자신의 그림 작업에 대해 시간이 대화를 걸어와 인간의 삶에 흔적을 남기는 것을 종이 위에 눌러 담는 작업이라 표현한다. 그 고민의 자국들을 끝없이 금을 입히는 행위로 상징한 이 작가는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을 비롯해 11회 ‘평화, 통일서예대전’ 에서 최우수상을, 그리고 제6회 통일 환경 휘호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한국 현대수묵화의 미래로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때보다 앞으로가 중요하다고 한다. 그의 모든 흔적은 농담(濃淡)처럼 서서히 스미고 번져 가며 쌓이는 기억처럼 현대수묵화의 소중한 역사를 만드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