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도 어둡다…올해 통합재정수지 '1조6천억' 적자 가능성

입력 2019-11-10 10:40


올해 1∼3분기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연말에 이르더라도 적자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추세상 하반기에 통합재정수지가 회복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정부 총수입·총지출 전망을 바탕으로 지난 8년간 4분기 총수입 추세를 반영해보면 올해 총 1조6천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정부 전망보다 국세가 덜 걷힐 것으로 예상해 올해 4조4천억원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자료를 분석해보면 2011∼2018년 4분기 총수입은 평균 91조4천억원, 연간 총수입 대비 4분기 비중은 평균 24.0%였다.

올해 추경 기준 총수입 전망치가 476조4천억원임을 고려하면, 최근 8년간 4분기 수입 비중을 단순 적용했을 때 올해 4분기 총수입은 114조3천억원으로 계산된다.

이 금액은 올해 총수입 전망치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4분기 수입(116조9천억원)보다 2조6천억원가량 적다. 올해 1~3분기 실적은 359조5천억원이다.

앞서 정부는 1∼9월 통합재정수지가 26조5천억원 적자로, 사상 최대 적자로 나오자 과거 7년간의 추이를 들어 전망치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예년 수준을 반영하면 통합재정수지는 정부가 전망한 1조원 흑자 대신 1조6천억원 적자를 낼 가능성이 큰 셈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통합재정수지 전망은 더 어둡다.

지난달 예정처 중기재정 전망을 보면 올해 통합재정수지가 4조4천억원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봤다.

통합재정수지가 적자로 전환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한 2009년과 국세 수입이 줄었던 2015년 두 차례에 그친다.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검토보고서에서는 "통합재정수지는 연금 재원 적립 등으로 큰 흑자를 나타내는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흑자를 기록해왔다"고 설명하고 있다.

올해 통합재정수지 적자 여부를 결정지을 가장 큰 요소는 총수입이다.

총수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세 수입에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정처는 올해 총수입 규모를 정부 전망보다 6조원 낮은 471조원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세외수입과 기금수입 등 국세 외 수입은 180조4천억원으로, 정부 예상(181조6천억원)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국세 수입은 정부 예상보다 5조8천억원 적은 290조6천억원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기업 실적 부진 속에 주요 세목인 법인세가 예상보다 적게 걷히면서 세수에도 빨간 불이 들어온 상태다.

올해 3분기까지 법인세 수입은 65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연간 법인세 전망치는 79조3천억원이다.

4분기가 남아있지만 법인세 수입은 시기적 특성을 보인다. 법인세는 8∼9월에 중간 예납·분납 이뤄지면서 9월 말이면 상당 부분 반영이 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10월까지 분납할 수 있지만, 전체 법인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예정처의 올해 법인세 수입 예상치는 73조원이었다.

정부가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12월에 예정된 종합부동산세다.

종부세의 과세 기반이 되는 공시가격이 올해 대폭 올랐고 공정시장가액비율도 지난해 80%에서 85%로 상향 조정되면서 세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시가격 상승과 공정시장가액비율 인상 등으로 종부세는 당연히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소득세도 남은 기간에 근로장려금 등 감소 요인이 없으니 예년보다 낮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종부세의 규모가 작다는 것이 한계다.

정부는 추경 기준으로 종부세가 2조8천억원 걷힐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대비 1조원 늘어난 수치다. 예정처는 3조원의 종부세 수입을 예상했다.

올해 총지출은 475조4천억원으로 예상된다.

정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이·불용이 평균 16조5천억원가량 발생했다. 이·불용이 발생하면 총지출 규모가 줄어들고 통합재정수지는 플러스 영향을 준다.

문제는 올해가 정부가 이·불용을 최소화하겠다며 목표치까지 제시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정부와 여당은 당정 확대재정관리 점검회의에서 중앙재정의 97% 이상을 집행률 목표로 설정했다.

한편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확장 정책 기조 아래 내년부터 통합재정수지를 적자로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9∼2023년 중기 재정운용계획을 통해 통합재정수지 적자를 내년에는 31조5천억원, 2021년에는 41조3천억원, 2022년에는 46조1천억원, 2023년에는 49조6천억원 등으로 제시했다.

예정처 전망은 더 비관적이다.

내년 통합재정수지는 34조7천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2021년에는 44조8천억원, 2022년에는 47조6천억원, 2023년에는 무려 53조8천억원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봤다.

정부 전망 대비 약 1조5천억∼4조3천억원까지 적자 규모가 더 컸다.

예결위 검토보고서는 "과거 국가재정운용계획은 후반부에 총지출을 줄여 재정수지적자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마련됐던 반면 올해는 후반부에도 재량지출을 중심으로 총지출이 지속 증가한다"며 "경제가 회복된 후에는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재정 운용이 회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2020년 이후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등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실제 재정운용계획은 이와 달리 지속적인 확장재정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