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전국 1,000개의 중소기업 사업장을 5G 기반의 스마트 공장으로 바꾼다.
사업 활성화를 위해 5G 네트워크를 공급하는 통신사들은 관련 요금제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제13차 회의를 열고 '5G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가 참석했다.
우선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기 위해 2020년까지 전국 1,000개의 중소·중견 기업에 5G 솔루션을 보급한다.
올해 말까지 실시간 품질검사, 자율주행 물류 이송, 생산설비 원격정비, 예지정비 등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에는 5G 기반 봉제특화 로봇 솔루션 실증까지 마친 후, 현장에 보급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연도 별로 보면 2020년 200개, 2021년 300개, 2022년 500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사들이 5G 솔루션 보급 관련 통신요금제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적용을 추진한다.
현재 해당 요금을 출시하려면 관계당국에 사전 신고를 해야 관련 요금제를 판매할 수 있다.
요금인가제에 준하는 신고제인 만큼, 자율적인 요금 출시가 가능하도록 규제를 임시로 풀어준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산업용 5G 단말기를 올해까지 개발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상용화를 지원한다.
총 12억원을 투입해 3.5기가헤르츠와 28기가헤르츠 겸용 단말기 프로토타입을 200개를 제작한다.
스마트공장에 향후 적용될 새로운 5G 솔루션 기술 고도화도 동시에 추진된다.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로봇, AR 글래스 부품,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등이 개발될 예정이다.
스마트 공장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정부가 직접 구축하고 제조 데이터센터에도 연계해 활용한다.
장병규 4차산업위원장은 "스마트공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5G 서비스의 핵심 분야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업은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5G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