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 '시계제로'…1850선도 '불안'

입력 2019-08-28 10:42
<앵커>

대내외 변수에 증시는 일희일비 하고 있는데요.

당장 오늘(28일)은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시행일이란 변수가 화두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증권부 이민재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오늘, 내일 주요 변수부터 알려주시죠.

<기자>

네, 일본의 백색국가 배제 조치 시행을 눈 여겨봐야 하는데요.

오늘을 시작으로 해당 내용을 담은 일본의 수출무역관리령이 시행됩니다.

우리나라의 지소미아 종료에 대한 반발로, 일본이 전략 물자 등을 이유로 배제 품목을 확대할 지가 관건입니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바로 추가 조치를 내놓기 보다, 추이를 지켜볼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당장은 미국이 한미일 공조가 무너지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 만큼, 미국의 개입에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단 분석이 나옵니다.

정부는 관계 장관 회의를 열고 소재, 부품 투자 등 대응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이어 내일(29일)은 국정농단 사건 대법원 최종 선고 일입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연루 혐의로 지난 2017년 8월 1심에서 징역 5년 실형을 선고 받고 법정 구속된 바 있는데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집행 유예 확정, 파기 환송 등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이 극에 달한 상황인데 경영 공백 우려까지 더해져, 결과에 따라 증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투자자들은 증시 지지 선에 그나마 기대를 걸고 있는데요.

<기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코스피 하방 지지 선을 1850선으로 내다보고 있는데요.

증권사들은 증시 반등은 당분간 어렵다며 예상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는데요.

다음 달 코스피 밴드로 1,800 중, 후반 선에서 1,900 후반까지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9월 코스피 밴드로 낮은 수준은 교보증권으로 1850선에서 1980선입니다.

이렇다 보니 하반기 코스피 밴드도 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좁은 박스 권을 보일 것이란 의견이 우세합니다.

여기에 박스피가 지난 2011년과 비교하면 하락 폭은 더욱 크고 기간은 더욱 길 것으로 보는 부정적 시각까지 나옵니다.

여러 변수의 원인 중 하나인 미중 무역 분쟁이 해결되지 않는 한, 분위기 반전은 어렵단 분석입니다.

<앵커>

지지선 예측치가 증시 바닥이라고 보기 어렵단 시각도 있는데요.

<기자>

최악의 상황에는 1800선도 위태롭단 분석도 나옵니다.

금융투자업계는 최저점을 찍고 지수 반등을 기다리는 건 좋은 투자 전략을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기술적인 자율반등 가능성을 전제로 주식 투자를 하는 건 아직 위험하단 겁니다.

낮아진 지수에 저평가 기대감도 있지만, 2분기 기업 실적 부진과 낮아진 밸류에이션을 고려하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지금 적용하기 어렵단 설명입니다.

<앵커>

올해 남은 기간 전체를 살펴봐도 증시는 '시계 제로' 입니다.

<기자>

미중 무역협상은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블러핑(허세) 전략에 일희일비만 있을 뿐 안정에 대한 신뢰를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다음 달 워싱턴에서 무역협상이 재개될 예정이었지만, 불확실한 상황이고 미국 대중 4차 관세 부과가 예정돼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금리 인하를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 입장과 달리, 잭슨홀 미팅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약해진 것도 부담입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폭도 확대돼 R의 공포가 목전까지 와있는데요.

현지시간으로 27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과 2년물 국채 금리차가 5bp로 2007년 이후 12년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금리 역전은 지난 1978년 이후 다섯 차례 발생했는데 2년 뒤 경기침체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위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대규모 DLS, DLF 손실 사태의 원인인 독일 국채 마이너스 폭 확대 역시 경계해야 합니다.

원달러 환율도 불안하고 홍콩 시위도 격화되고 있어 '블랙스완' 위기론까지 나옵니다.

주도주와 모멘텀 마저 부족한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 수급은 좋지 않고 고객 예탁금은 갈수록 줄어드는 등 점차 투자 심리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각국 정부 정책이 돌파구가 될 가능성은 없나요?

<기자>

유동성 정책은 예전만큼 효과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에 더해, 정부의 재정 정책이 시너지를 낸다면 분위기를 바꿔볼 수 있단 설명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감세, 독일은 경기 부양을 위한 500억 유로 정부 지출을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중국은 연간 기준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재정지출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단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부양책의 영향과 관련 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