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들어 계속해서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카드와 그에 대한 대책을 계속해서 알아보고 있는데요. 어제는 일본 언론이 우리 국민의 불매운동을 ‘비열한 행동’이라 비판해 하루 종일 국민의 공분을 샀는데요. 이러한 상황에 우리 국민들 사이에선 “이번에는 본때를 보여주자”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이번주 내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요. 현재 우리의 대책은 어디까지 와 있습니까?
-우리 정부, 뒤늦게 강경 대응 쪽으로 전환
-수출통제·국제공조 등 다양한 대책 마련 중
-삼성전자 등 민간기업, 일본 기업과 공조 노력
-우리 국민 사이에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 전개
-불매운동 효과, 종전과 달리 급속히 높아져
Q. 한국 측 대응에 대한 일본의 반응을 예상이 됩니다만 일본 정부 측의 반응을 중심으로 말씀해주시지요.
-한국 측 정부 대책, 무대응·무반응 원칙
-수출통제 협의 한국측 요청, 단칼에 거절
-오히려 수출통제 대상품목 확대할 움직임
-정당성 확보 차원, 북한과의 연계 움직임
-韓 국민 불매운동, 가장 민감한 반응 보여
-협상 대비, 한국 전문가 파견 및 TF팀 구성
Q. 우리 국민이 벌이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경제보복조치를 단독으로 결정한 아베 총리뿐만 아니라 일본 언론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까?
-일본 언론과 국민, 反아베 기류 급속 확산
-일본 기업과 소공인, 경제보복 철회 촉구
-日 국민 여론조사, 아베 지지도 ‘계속 하락’
-극우성향 언론, 韓 국민 불매운동 ‘강력 비판’
-산케이 ‘비열한 행동’…韓 국민 공분 일으켜
Q. 하지만 국내 유력 언론과 인터뷰한 일본 기자와의 한국 국민 불매운동과 관련한 인터뷰가 잔잔한 파동을 일으키고 있지 않습니까?
-사와다 가쓰미, 日 마이니치 10년 서울 특파원
-한국어 능통, 일본 내 한국 전문가로 알려져
-4번 걸쳐 韓 국민 불매운동, 용두사미 그쳐
-한국처럼 성숙한 사회, 불매운동 확산 어려워
-“이번에는 본때를 보여주자”와 함께 ‘자숙론’도
Q. 일본 국민들도 한국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그런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까?
- 극우 성향 일본 국민 중심, 韓 제품 불매
-일본 내 한국인 음식점, 일본인 출입 감시
-편의점 등에서 한국 상징 김치 판매 감소
-후쿠시마 사고 등을 거론, 불매운동 부추켜
-日 국민, 위기에 처하면 ‘애국심’으로 단결
-韓 제품 불매운동, 의외로 빨리 확산될 수도
Q. 지금까지 벌어지는 상황을 볼 때 문 대통령 말씀대로 비상상황인데요. 이 와중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아프리카를 방문해 우리 국민의 시각이 곱지 않지 않습니까?
-방문 목적, 6발 7일 간 아프리카 3국 순방
-방문국, 에티오피아·가나·남아프리카 공화국
-외교부 공식 입장, 두 달 전부터 추진 방문
-국민 “시국이 급한데 이 와중 아프리카 방문”
-국제적으로 약속한 사안, 지키는 것이 원칙
-단, 시급한 상황 발생시 언제든지 조정 가능
Q. 외교부 장관의 아프리카 방문에 대해 국민의 눈이 곱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부총리가 2분기 성장률이 나아질 것으로 말한 것도 논란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올해 1분기 성장률 -0.4%, OECD 회원국 중 꼴찌
-2분기 이후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예상, 의식 발언
-2분기 성장률, 1분기 성장률 워낙 낮아 ‘플러스 성장률’
-일본 경제보복 조치, 3분기 성장률부터 본격 영향
-‘W’ 자형 경기순환 우려, 2분기 나아지고 3분기 재추락
-‘W’ 자형 경기순환, 오히려 장기침체 가능성 높아져
Q. 한일 간 경제보복조치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끝으로 말씀해주시지요.
-가장 먼저 해야 할 대책, 일본과 입장 차이 조정
-日 보복 대응, 기업 전면으로 내세우지 말아야
-정치 현안 정부가 풀고, 기업은 물밑으로 협의
-반도체 가치사슬, 국제공조와 對日 협상력 증대
-불매운동, 순수한 국민운동 성숙하게 전개해야
-對日 협상력 증대 위한 전담 TF팀 구성할 필요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