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르노삼성자동차 노사가 아직까지도 지난해 임단협을 타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드린 바 있지요.
양측은 꾸준히 교섭을 이어가고 있지만 노조는 오늘도 부분파업을 진행하는 등 여태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자동차 무역확장법 232조 발동여부가 노사간 협상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배성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주요 생산 차량은 르노그룹 자회사 닛산의 SUV 모델 '로그'입니다.
수탁생산되는 로그는 전량 수출되는데, 작년 수출량이 르노삼성의 전체 내수 물량을 넘을만큼 르노삼성의 핵심 생산 모델입니다.
이처럼 수출 물량이 절대적으로 많은 르노삼성의 특성상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간의 갈등은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모기업인 르노그룹은 르노삼성 노사가 다음달까지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다면 로그를 이을 후속 모델을 다른 글로벌 공장에 배정할 수 있음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17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제출될 상무부의 자동차에 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 보고서도 노사 힘겨루기의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20에서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으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업체들은 가격을 낮추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습니다.
급여, 복리후생비와 같은 임금성 지출이 높아 부산공장이 경쟁력을 잃었다고 주장하는 사측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것입니다.
반대로 한미 FTA를 개정하는 등 자동차에 관한 미국의 요구를 선제적으로 조치해온 한국이 쿼터 배정이나 예외국 조치를 받게 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EU와 일본에만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 관세로부터 자유로운 부산공장의 가치도 그만큼 올라가기 때문에 기본급을 올리려는 노조에 유리한 국면이 전개될 수도 있습니다.
당장 로그 후속물량이 빠지면 900여명의 인력 감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
이어질 협상에서 노사 양측이 통상문제까지 고민한 타협안을 얼마나 속도감 있게 내놓는지 여부 또한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배성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