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새해 벽두 첫 외교행보로 중국을 전격 방문한 것은 대미관계 교착 해소 등 올해 국정 운영 전반에서 대중국 외교와 협력의 절실함이 잘 드러난다는 평가다.
특히 2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른 시일 안에 열릴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전격적으로 이뤄진 김 위원장의 방중은 양국의 전통적 우의를 넘어 전략적 소통을 다시 한번 과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 위원장은 비핵화 협상의 입구에서부터 미국과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이는 상황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인정하며 향후 북미협상의 안전판으로서 중국의 역할에 기대려는 모양새다.
작년에도 김정은 위원장은 1차 남북정상회담과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집권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짐으로써 북한의 후견인으로서 중국의 지위를 부각했다.
북미정상회담 직후에도 중국을 찾아 결과를 통보하는 모습을 취하며 '중국=후견국'이라는 공식을 각인시켰다.
따라서 김 위원장은 이번에도 시 주석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의제 등 회담 전반을 통보하고 북측 입장을 상세히 설명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의 제재 완화 같은 상응 조치에 대한 입장과 전략 등 비핵화 협상 전반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조언도 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한미군사훈련의 완전한 중단과 종전선언, 평화협정 체결 같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논의했을 것이라는 데도 무게가 실린다.
국가정보원은 8일 국회 보고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방중 기간 시 주석과 평화협정 추진 방안을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정전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밑에 조선반도의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항구적인 평화보장 토대를 실질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중국과 전략적 소통을 마친 만큼 북한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비롯해 미국과 다양한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울러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양국의 수교 70주년이 되는 올해 첫 해외 나들이라는 점에서 양국의 전통적인 순치 관계를 더욱 활성화하는 중요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두 정상이 시 주석의 집권 후 첫 평양 방문을 비롯한 수교 70주년을 맞아 교류 확대 등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이 커 보이는 배경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굳이 35회 생일에 맞춰 방중,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시 주석으로부터 성대한 생일 만찬을 받으며 양국 최고지도자 간 특별한 신뢰와 친밀도를 과시한 것이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미국의 지속적인 제재 속에서 김 위원장이 힘을 쏟고 있는 자강력에 의한 경제성장과 주민 생활 향상을 위해서는 중국의 다양한 지원과 교류에 전적으로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 위원장은 이번에도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 내 제약회사 동인당 공장을 방문, 전통 약초의 상품화에 큰 관심을 보이며 중국과 과학기술 교류협력 의지를 보였다.
이처럼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 속에서도 북·중 관계가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북미대화에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중 무역 전쟁 속에서도 중국이 일부 양보적인 모습을 보이는 만큼 북미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서도 미국을 자극하지 않으려 하고 있고, 중국이 국가발전을 위해서도 미국의 대중국 압박의 구실이 되는 북한의 핵무장을 달가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남주 성공회대 중국학과 교수는 '김정은의 최근 방중이 지닌 함의' 제목의 창비주간논평에서 "북미 갈등은 북·중 문제라기보다는 북미 사이의 불신이 더 주요한 문제이며 특히 북한은 자신들의 양보가 체제 안전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중국과의 협력이 북한의 안전감을 증가시키고 중국이 나름의 중재적 역할을 한다면 교착 상태의 타개에 더 유리한 환경을 만들 수도 있다"며 "북한이 한 발짝 더 나아가고 미국이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해 주도록 하는데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도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