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중국의 인재들

입력 2018-12-16 15:36
제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세계 시장의 경쟁이 뜨겁다. 바이오, 헬스케어, AI, 블록체인과 같은 미래 산업 분야에 대한 각국의 선점 욕구는 두말할 것이 없다. 이 밖의 산업들도 변화의 바람에 대응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떠오르는 산업이 있는가 하면 암울한 전망을 드러내는 산업도 있다. 지난 한 세기 동안 세계 산업의 핵심이었던 제조 분야는 2013년 미국 디트로이트 쇼크를 겪음으로써 큰 치명타를 입었다. 디트로이트 공장 지대의 쇠락이 곧 ‘제조업의 몰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쏟아졌다. 특히 디트로이트의 핵심 산업이었던 자동차 업계의 내상은 매우 컸다.

다행히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기술 혁신으로 자동차 업계는 자체적인 돌파구를 마련했다. 그리고 자동차 시장의 거점은 미국이 아닌 여러 국가로 분산되었다. 그중 한 국가가 바로 중국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중국의 개혁 도시 선전(심천)에 둥지를 틀고 있는 비야디(BYD)가 세계 자동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비야디는 본래 휴대전화 부품 제조업체로, 배터리 제조에 특화되어 관련 업계의 내로라하는 기업이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자사 노하우를 접목한 전기자동차를 생산하기에 이르렀으며 지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에서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다. 그리고 비야디가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중국의 첫 경제특구 선전이 있다.

사실 선전은 1980년 당시 개혁개방 정책의 큰 수혜를 입은 도시다. 40여 년 전 작은 어촌 마을에 불과했던 이곳은 당국의 전폭적인 투자를 받아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민영 스타트업을 유치하기 시작한다. 또한 지속적인 인재 육성 정책을 통해 ‘창업하기 좋은 동네’로 발전한다. 세계적인 IT 기업 화웨이, 텐센트 등도 이곳에서 탄생했다. 1995년 선전에 뿌리를 내린 비야디 역시 이런 아낌없는 투자 아래 성장할 수 있었다.

실리콘밸리 못지않은 인재들의 집합소 선전은 이제 중국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도시로 거듭났다. 2018년 중국에서 발표된 중국 도시별 비즈니스 환경 지수 순위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한 것은 이 도시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발표에서 선전은 소프트 환경, 인프라, 시장 환경, 생태계 환경, 사회 서비스 등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하며 상하이, 광저우, 베이징 등을 제치고 중국에서 가장 비즈니스하기 좋은 도시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 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선전에서 신규 상업등기를 한 법인은 무려 55만 2000곳으로, 하루 평균 1512곳이 창업을 하는 셈이라고 한다.

비야디와 같이 선전 기반의 기업들이 가지는 경쟁력은 비단 중국 본국에만 한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세계 시장을 장악하려는 그들의 야심은 놀라울 정도다. 일례로 최근 비야디는 한국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들을 스카우트하기 위해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었다.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그들의 적극적인 구애에 이미 꽤 많은 인력들이 국내 업계를 이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기술 굴기’를 목적으로 한 중국의 글로벌 인재 영입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그리고 중국의 핵심 기술 인재에 대한 목마름은 비야디의 사례처럼 우리나라를 겨냥하고 있다.

얼마 전 개봉한 한국 영화「안시성」은 645년 고구려를 쳐들어온 당나라를 상대로 안시성 성주 양만춘과 그 성민들이 힘을 합쳐 성을 지켜냈던 역사적인 사건을 담고 있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대로 안시성이 승리를 거두는 것으로 끝이 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우리의 승리라기보다는 요새를 함락시키기 위한 당나라의 집요함이다. 3개월간의 기나긴 전투 동안 당 태종 이세민은 성문을 열기 위해 갖가지 방법을 동원했다. 그래도 열리지 않자 종래에는 토산(土山)을 쌓아 지리적 불리함을 극복하려 한다. 실패로 돌아가긴 했지만 실제로 수십만 명의 당나라 군사가 안시성의 성벽보다 높은 산을 쌓았다.

맥락없이 영화 이야기를 한 것 같지만 하고자 하는 말의 핵심은 이것이다.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중국의 침투력은 수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무서울 정도로 맹목적이며, 전투적이다. 이제는 개혁도시를 통해 인재를 자력 육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해외 인재 확보에도 거침없이 돌진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중국발 공습에도 무너지지 않을 안시성이 있는가? 아쉽게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부정적이다. 중국이 국내 미래 산업 분야의 인력들을 계속 빼내어 가는 상황임에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뿐이다.

오해가 있을 수 있어 덧붙이자면 여기서 ‘안시성’은 쇄국정책마냥 빗장을 걸어 잠그자는 게 아니다. 중국의 선전처럼 우리 역시 국내 기업들을 위한 튼튼한 토양과 보호체계를 마련하자는 뜻이다. 국가경쟁력을 쌓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건실한 자국 기업을 키우는 것이다. 이것이 대비책이자 정공법(正攻法)이다.

중국 정부는 최근 자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법인세를 감면해주고 22조 원이 넘는 투자기금을 조성했다. 스타트업과 미래 유망 기업에 대한 중국의 아낌없는 투자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그에 반해 우리는 어떠한가. 정부 차원의 인재 육성이나 스타트업 지원 플랜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그 지원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유망한 스타트업에 대한 개인 투자를 허용했다. 이전까지 국내의 수많은 스타트업들은 정부의 지원과 규제 속에서만 투자를 받을 수 있었다.

산업 생태계에는 영원한 강자도, 영원한 약자도 없다. 디트로이트는 허허벌판이 되었지만 선전은 도약했다. 이 모든 변화는 운이 아닌 계획에 달려 있다. 한국이 새로운 산업 시대의 주역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 스타트업, 강소기업에 대한 투자의 활로를 좀 더 열고 국가 차원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원과 정책이 필요하다.

스타리치 어드바이져는 중소벤처기업부 23호로 등록된 액셀러레이터 '벤처스퀘어'의 관계사이자 병의원과 중소, 중견 기업을 위한 컨설팅 전문 그룹으로, 합법적이고 올바른 개인투자조합의 길을 안내하고 있으며, 투자자에게는 건전한 투자를, 유망 벤처 기업에게는 질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인정한 개인투자 조합을 통해 안전한 투자 활동을 원하시는 분은 스타리치 어드바이져로 문의하면 된다.

<작성자 :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대표이사 김광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