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IPO 회계감리 강화...상장 '된서리' 우려

입력 2018-12-05 10:51


<앵커>

현재 상장 준비 기업은 10개 기업 중 6 곳이 무작위로 선택돼 IPO(기업공개) 감리를 받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 회계에 대한 IPO 감리 책임론이 일자, 이를 더욱 강화하는 안에 힘이 실리고 있는데요.

하지만, IPO 시장 위축과 증시 선진화에 역행할 수 있단 지적이 나오고 있어 시장의 우려가 높습니다.

이민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논란으로 IPO 감리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감리 강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현재는 표본 감리로 기업들이 삼장예비 심사를 신청하면 이중 60%의 기업만 공인회계사협회의 감리를 받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회계감리 선진화 TF(태크스 포스)'와 내부 회계팀을 통해 IPO 감리 개선 논의 막바지에 들어갔습니다.

회계사협회의 IPO 감리 대상을 60%에서 100%로 확대하는 안과 금융감독원이 모든 감리를 하는 안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IPO 감리 강화로 가닥이 잡히는 모습입니다.

문제는 감리 강화가 IPO 시장 위축이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단 점입니다.

모든 기업에 완화된 감리를 적용하자는 안이 고려됐지만 감리 기관이 향후 발생할 문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만큼, 더욱 깐깐하게 감리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다 보니 상장 일정 지연으로 기업 가치 하락과 상장 포기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단 의견이 우세합니다.

<인터뷰>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IPO 숫자가 너무 없습니다. IPO 숫자가 없는 것은 회계, 감리 리스크가 큽니다. 감리 리스크를 더 키울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회계사협회 감리 착수 평균 기간도 2015년 65일에서 2017년 89일로 계속해서 느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 회계 논란 중에 카카오게임즈와 현대오일뱅크도 IPO 감리에 발목이 잡혀 상장을 미룬 바 있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올해 잇따른 대어의 이탈로 IPO 목표치 달성이 힘든 상황에서 향후 IPO가 급감하지 않을까 노심초사입니다.

또 금감원 입장에선 업무를 맡을 만한 인원이 부족한 것과 감리 책임을 모두 금융당국이 떠안는 것이 부담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 처럼 지금의 IPO 감리를 없애는 대신, 상장 이후 금감원이 공시 점검을 통해 분식을 밝혀내면 주관 증권사와 회계 의뢰를 받은 감사인 등에 책임을 묻는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IPO 감리 강화가 시장의 건전성을 높일 수 있지만 증시 활성화에 역행할 수 있단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내놓을 결론을 두고 논란이 뒤따를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