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직 유커는 돌아오지 않았지만 다행히 중국 관련 소비주들의 주가는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제 유커가 국내 증시를 좌지우지하는 시기는 지났다며, 다양한 방식으로 현지를 공략해 매출 상승이 기대되는 업체 위주로 투자에 나서라 말합니다.
방서후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 백화점에 입점한 LG생활건강의 '후' 매장입니다. 어느덧 분기 매출이 1천억원을 넘기 시작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화장품 '문샷' 브랜드를 보유한 YG PLUS도 중국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빅뱅과 블랙핑크를 뮤즈로 한 제품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일명 '지디 향수'로 불리는 '지디 오 드 뚜왈렛'은 완판 후 재입고 1시간 만에 5천만원 어치가 팔려나가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화장품 업체들이 더 이상 깃발 부대와 보따리상의 대량 구매에 의존하지 않고 중국 현지 진출에 성공해 매출을 늘리자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
"중국 상해 특 A급 매장에 글로벌 브랜드들 사이에서 아모레퍼시픽 등 한국 대표 브랜드들도 입점해 있다. 한한령 때문에 한국 브랜드 매장에 사람들이 많이 없을 때와 달리 현재는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기존 화장품이나 의류 등 필수 소비재를 넘어 영화와 드라마를 수출하는 문화·콘텐츠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중국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질적 소비 욕구가 확산되고 있고, 최근 영화 '물괴'가 중국으로의 판권 수출이 결정되며 한한령 이후 얼어붙었던 콘텐츠 판매가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에서입니다.
종목별로는 영화배급사 NEW를 비롯해 드라마 제작 업체인 스튜디오드래곤과 제이콘텐트리 등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넷플릭스가 규제상 중국에 진출할 수 없어 이들 드라마 지적재산권 보유 업체들은 중국 텐센트TV나 아이치이 등에 추가로 드라마 판권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스튜디오드래곤은 이미 넷플릭스와 판권 계약을 마친 '미스터 선샤인' 외에도 글로벌 아이돌 엑소(EXO) 디오(도경수)와 찬열이 각각 출연하는 '백일의 낭군님',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 탄탄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연내 시가총액 4조원을 무난히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인터뷰> 홍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
"연간 25편 정도의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고 한 편당 적게는 20~30억원, 많게는 100억 가까이 수익을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중국이 새로운 시장으로 열린다면 미디어 빅사이클의 초입 구간으로 봐도 무리가 없을 것."
이밖에 웹소설과 웹툰을 제작하는 디앤씨미디어도 유망주로 거론됩니다.
대표작 '황제의 외동딸'이 중국에서만 누적 37억 뷰를 기록하면서 실적 성장을 이끈데 따릅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