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초 정부가 야심 차게 내놓은 '증시 활성화' 대책.
그런데 뚜껑을 열어보니 믿고 투자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마이너스 수익률'로 손실만 떠안고 있습니다.
잡으려 했던 부동산 가격은 오르는 상황에서 증시에 실망한 개인투자자들의 엑소더스가 이어질까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보도에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지난 1월 코스닥 벤처펀드 등 '자본시장 혁신' 담은 경제 정책 방향을 선보였습니다.
정부가 앞장선단 기대감에 잠시 들썩였지만 7개월 만에 코스피는 12%, 코스닥은 15% 급락했습니다.
특히 정부 정책을 믿고 투자한 개인 투자자의 타격이 큽니다.
코스닥 시장의 85%를 차지하는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주가 수익률을 단순 평균해서 보면 -33%로, 같은 기간 40% 이상 수익을 얻은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에 비해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또 정부가 내년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에 19조6,0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4차 산업 혁명을 핵심 과제로 꼽으면서 관련 기업도 주목을 받았지만 주가는 흐지부지합니다.
바이오, 제약 기업이 포함된 KRX300 헬스케어 지수는 1월 말 4325.53까지 올랐다가 삼바 논란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현재 21% 이상 급락했고 IT와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기술 지수는 9%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전쟁과 금리 인상 등 대내외 경제 상황도 악영향을 주고 있지만 정책도 증시 위축에 한 몫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여기에 정부의 연이은 규제에도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이 4.73%를 기록하는 등 증시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증시 이탈과 추가 하락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이 되자 부랴부랴 보완책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하반기 중 혁신성장과 생산적 금융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자본시장 개혁과제를 마련해서 추진"
상반기 정부의 자본 시장 혁신 정책을 두고 '낙제점' 이란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코스닥 지수 관련 파생 상품에 대해 양도 소득세를 부과하는 것과 하반기 개혁 과제 간 엇박자 논란이 일면서 증시를 둘러싼 투자 심리가 더욱 위축될까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