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원치 않는 마감재를 선택하지 않는 식으로 분양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너스 옵션제'가 도입된 지 10년이 됐습니다.
하지만 건설사들이 실제로는 마이너스 옵션을 선택할 수 없도록 막고 있는데다 추가 비용 부담도 만만찮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됩니다.
이지효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기존의 아파트가 내부 마감재를 모두 갖춘 완제품이라고 한다면,
마이너스 옵션제는 기본 골조만 짓는 이른바 '누드분양' 방식입니다.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실내 구조나 인테리어를 직접 꾸밀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 전문 업체에 맡기지 않고 '셀프 인테리어'에 도전하는 사람이 적지 않아 문의가 느는 상황.
마감재 시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분양가를 낮추고, 취득세와 양도세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심교언 /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소비자들이 보통은 새로 인테리어를 해서 비용이나 자원낭비가 있으니까…지방 시장 같은 경우는 미분양 물량이 많으니까 마이너스 옵션이 확산될 수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소비자에게 유리하지만, 실상은 그렇지만도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마이너스 옵션제 대상은 7개 품목인데, 필요한 것만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모두 선택하거나 아니면 전부 선택하지 않는 방식이라 시공사가 설치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들게 됩니다.
일부는 마이너스 옵션을 선택하면 발코니 확장도 외부에 맡기도록 해 사실상 선택을 막고 있습니다.
<인터뷰> 대형 건설사 관계자
"단체로 공사를 하면 시공비, 자재값이 경쟁력이 낮은 편은 아니고…전매를 할 때도 건설사가 제공하는 인테리어를 좋아하고, 하자가 발생했을 때 대응하기도 힘들잖아요."
결국 계약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마이너스 옵션제를 포기하고, 분양을 받고 나서 마감재를 뜯어 다시 공사합니다.
따로 부족한 설비를 설치해 추가 비용이 드는 데다, 버려지는 자재, 폐기 비용까지 생각하면 막대한 자원낭비입니다.
분양가를 내리기 위해 분양가 상한제와 함께 도입된 마이너스 옵션제.
그러나 지금의 방식으로는 분양가를 낮추기는커녕 소비자 선택권도 보장이 안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