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스닥과 벤처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코스닥벤처펀드가 다음달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운용사나 투자자들에게 선물을 안겨주며 투자를 유도한다는 방침인데요, 실제로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유주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벤처기업과 코스닥 기업에 전체 투자금의 50%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해야하는 코스닥벤처펀드가 이르면 다음달 출시됩니다.
업계에서는 DS자산운용이 사모형 상품으로 첫 스타트를 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외 공모형 코스닥벤처펀드 출시를 저울질 하고 있는 곳은 미래에셋자산운용과 KB자산운용 등입니다.
당초 정부가 코스닥벤처펀드 활성화를 위한 계획을 내놨을 때 펀드 투자자들은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고 운용사는 공모주를 30%까지 우선 배정 받을 수 있어 꽤 관심을 끌 것이란 예측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막상 출시 단계에 들어서니 이런 기대감이 줄어드는 모양새입니다.
벤처신주 의무 투자 비중이 상당히 부담스럽고, 그나마 안정적인 수익률을 낼 수 있는 IPO 시장도 규모가 따라줄 지 의문입니다.
이전 벤처투자신탁 때 50%였던 벤처 신주 의무편입비율이 이번에 코스닥벤처펀드로 바뀌며 15%까지 떨어졌지만 펀드규모가 커질수록 운용사 부담은 커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자산운용업계 관계자
IPO가 시장에 유입이 돼야 하는데 횟수, 규모가 불확실한 면이 있죠. 신주편입비율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공모주인데 해당 건수가 많아야 하고, 시장에 들어오는 물량 많아야 하고, 운용사가 청약했을 때 받는 물량이 의미있는 수치가 나와야 하는데…
일각에서는 벤처투자와 코스닥투자의 성격이 서로 다름에도 한 펀드에서 투자하도록 한 것이 결국 투자활성화를 저해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회사의 성장 단계별로 엑셀레이터, 벤처캐피탈 등 투자금의 성격도 다르기 때문에 투자 상품에도 구분이 있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또 업계에서는 운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수의 투자자로 구성되는 사모펀드 상품 출시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대중들에게 대규모 자금을 끌어오는 공모펀드에 비해 투자금 유입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고 최소투자금액이나 투자인원에 대한 제한 등이 있어 세제혜택과 공모주 우선 배정 등의 혜택도 결국 자산가들에게 집중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점입니다.
한국경제TV 유주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