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문재인 정부 국책사업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당초 기대와는 달리 속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도시재생 사업이 취지는 제대로 못 살리고 예산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먼저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도시재생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인 서울시 창신·숭인동 지역입니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뒷받침되면서 전국 도시재생 선도 지역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당연히 주민 만족도도 높습니다.
[인터뷰] 이순진 / 서울 창신동 주민
"봉사정신으로 해서 카페를 마련했거든요. 몰랐던 주민들이 다 모이게 되니까 서로 정보도 알려주고 건의사항이 있으면 그런 것도 서로 교환하고…."
하지만 모든 도시재생 사업지가 이곳처럼 운영되고 있진 않습니다.
주민들이 어떤 시설을 필요로 하고 원하는 지 의견 수렴도 하지 않고 눈에 잘 띠는 센터 건립에만 예산을 쓰고 있는 겁니다.
실제 12개 도시재생 선도지역 예산의 90.6%가 물리환경개선 사업에 집중돼 있고 주민 참여를 통한 자체 역량 강화에 들어간 예산은 5.7%에 불과했습니다.
대부분의 예산이 쓸데없는 건물 짓는데 들어가다 보니,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사업 추진 속도도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도시재생이 가장 필요한 서울 강북지역이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전면 배제되면서 강남·북간 인프라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규정 / 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
"집값을 안정화시키고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반적인 주거 환경의 질적 개선이나 인프라를 균형감 있게 조성해 주는 정부의 또 다른 사업들도 원칙대로 속도를 맞춰 진행해 갈 필요가 있습니다."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국가 균형발전에 이바지 하려면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한다는 의미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