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분당 리모델링 '열풍'…사업성 확보 관건

입력 2017-12-04 17:53
<앵커>

서울 강남과 성남 분당 등지의 아파트 단지에서 리모델링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재건축에 비해 규제가 덜 하다는 장점 탓인데, 사업성 확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현대1차 아파트.

지난 1990년에 지어져 재건축 연한을 충족했는데도 조합은 리모델링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초소형 수직증축 방식을 통해 세 개 층 정도를 높이면 현재의 120가구에서 138가구로 늘어납니다.

인근의 선경3차 아파트도 수직증축을 통해 8개 가구를 늘려 일반 분양에 나섭니다.

리모델링 추진 단지가 많은 성남시는 아예 시 차원에서 리모델링을 지원하고 나섰습니다.

대상 단지는 공동주택 175곳, 11만여가구로 리모델링 사업 속도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특히 분당 한솔마을 5단지 등 4곳은 리모델링을 통해 세 개 층을 수직증축할 계획입니다.

강남과 분당 등지에서 리모델링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다는 점 때문입니다.

재건축에 비해 사업기간이 짧고 조합원 지위 양도가 가능한데다 초과이익환수제도 적용받지 않습니다.

다만 사업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느냐에 따라 리모델링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는 우려도 여전합니다.

[인터뷰] 김규정 /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

" 몇 개 층을 증축해서 세대 수를 늘릴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이뤄지기는 했지만 그 정도로는 전체적인 사업 수익성을 끌어낼 수 없다 보니 기존 거주자들이 리모델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는 아직 어려운 상태입니다."

실제 강남의 한 아파트 단지는 리모델링 추진을 놓고 주민들 간 의견이 엇갈리며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민총회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 추진이 결정됐지만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강남구 대치2단지 주민

"처음에는 리모델링 찬성을 많이 했는데 지금 보니까 주택 재건축 쪽으로 많이 생각하죠. 리모델링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지금."

[인터뷰] 강남구 대치2단지 주민

"나는 (리모델링) 안 원해요. 기초가 어떻게 된 지도 모르고 높이만 올라가면 나중에 어떻게 되냐고."

규제 반사이익으로 리모델링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새로운 시장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