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 전 국무총리가 탄핵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무능과 오만 등을 비판하면서 박 전 대통령을 만든 보수 정치권에도 쓴소리를 했다.
고 전 총리는 1일 공개한 '고건 회고록 : 공인의 길'에서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정말 답답했다. 오만, 불통, 무능…. 하시지 말았어야 했다. 아버지 기념사업이나 하셨어야 한다"며 "당사자가 제일 큰 책임이 있겠지만, 그 사람을 뽑고 추동하면서 진영대결에 앞장선 사람들에게도 큰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고 전 총리는 또 "박근혜를 검증 안 하고 대통령으로 뽑은 것 아니냐. 보수진영이 이기기 위해서는 이렇게 해야 한다는 진영대결의 논리이고 결과이다. 중도실용을 안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 전 총리는 지난해 본격적인 촛불 정국 도래 직전 박 전 대통령에게 진언했던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2016년 10월 30일 당시 박근혜 대통령 초청으로 청와대에서 사회원로 몇 명과 함께 차를 마시며 '국민의 의혹과 분노는 한계점을 넘어서고 있다. 성역없는 수사를 표명하고, 국정시스템을 혁신해서 새로운 국정의 모습을 보여달라'고 진언했다.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결국 촛불집회가 일어나고 탄핵안이 발의, 가결됐다"고 말했다.
고 전 총리의 회고록은 그가 걸어온 길 자체가 한국 역사의 한 장면, 장면임을 보여준다. 1962년 내무부 수습사무관을 시작으로 도지사, 장관, 시장, 총리, 대통령권한대행을 역임했다.
고 전 총리는 머리글에서 "실제 공직에 있었던 시간은 다 합해 30년이지만 야인으로 지낸 20년 역시 공인의 마음가짐으로 살았으니 50년을 공인으로 살았다 해도 틀린 얘기는 아니다"며 "공인으로서 나의 삶은 우리나라와 서울의 현대사와 깊게 엮여 있기에 '무엇을 왜 어떻게 하려 했고 실제 어떻게 했는가, 또는 하지 못했는가'에 대한 회고의 기록을 남기는 일은 공인으로서 나의 마지막 의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내 회고담의 핵심주제라 할 '공인의 길과 소통의 문제'야말로 지금 우리가 회복해야 할 가장 중심적인 과제다. 국민으로서 정부의 무능은 참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공사의 혼돈과 독선은 참지 못한다"며 "지난 겨우내 광화문을 달군 '이것이 나라냐'의 절규는 바로 공인 정신의 소멸과 소통의 부재에 대한 전 국민적 절망의 표현이 아니었을까"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