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협력 가속…"성장동력·북핵 해결 돌파구"

입력 2017-11-28 11:15
한국-러시아 新밀월


<앵커>

우리나라 전체 교역량의 2%도 채 되지 않던 러시아가 경제·외교분야 핵심 국가로 떠올랐습니다.

양국 정상이 에너지와 항만 등 극동 개발에 협력하기로 한데 이어 유라시아와 한국을 아우르는 경제연합 구성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교역망을 만들고 한반도 위기관리도 가능하다는 계산인데, 정부의 대외정책을 뒷받침할 민간차원의 교류도 본격화될 걸로 보입니다.

김종학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가 중국과 미국에 의존해 온 한국의 대안 경제권역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에 막혀 한동안 교류에 진전이 없던 러시아와 교역은 올해들어 50% 이상 늘어날 만큼 분위기가 크게 달라졌습니다.

양국 정상이 지난 9월 동방경제포럼을 통해 에너지 등 9개 분야 협력을 추진하기로한데 이어 유라시아경제연합과의 자유무역협정 준비작업 등 가시적인 성과도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미국과 중국에 너무 의존돼 있는 경제구조를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으로 다변화시켜서 포트폴리오로 하겠다.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게 있고요"

정부차원의 협력이 강화되면서 양국 학계와 민간 차원의 교류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발다이클럽'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서울에서 아시아지역 컨퍼런스를 개최했는데. 러시아 외무차관,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장 등 양국 고위급을 비롯해 러시아 현지언론까지 나서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그런 잠재력을 개발시켜 나가면 일단 경제적으로 큰 협력의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있고, 그게 잘되면 또 외교안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러시아를 중심으로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등 5개 나라로 구성된 유라시아경제연합 EAEU는 2억명의 인구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거대 시장입니다.

에너지와 자원에 비해 산업기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정부는 이 지역의해운·에너지·항만·북극항로 등 이른바 '신북방정책'을 통해 러시아와 협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낙후된 극동 지역을 개발하는 '신동방정책'과 동남아시아 진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핵심 파트너로 떠올랐습니다.

정부는 다음달 7일 러시아 등과의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이끌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현대차 등 600개 유관 기업이 참여하는 한-러 지역 경제협의회를 출범시킬 예정입니다.

한국경제TV 김종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