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게임쇼로 불리는 E3나 매년 20만명이 넘게 찾는 지스타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게이머와 사람들의 가슴을 뛰게 하는 게임 축제가 열렸다.
2017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이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마무리됐다. 국립특수교육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 넷마블게임즈가 사회 공헌 차원에서 주최하는 행사다. 지난 5월부터 예선을 거쳐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게임계의 작은 올림픽이라고 할 수 있다. 예선을 거쳐 결선까지 걸린 기간은 석 달 가량이다. 올해 이것만을 기다렸다고 하는 학생이 있었다.
장애가 있는 학생들만 이 페스티벌에 참여한다고 하면 단순히 이들을 위한 성대한 잔치 정도로 여겨졌겠지만, 이 게임 축제가 특별한 것은 그들이 팀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팀이 되어 경기가 진행된다. 장애가 있다고 해서 게임 속 유닛의 능력치가 달라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경쟁종목은 마구마구나 키넥트 스포츠, 오델로, 하스스톤 등 사람들에게 친숙한 게임들로 구성됐다. 종목으로 채택된 캐주얼 보드게임인 모두의 마블은 장애 학생과 학부모가 한 팀이 되는 방식으로 눈길을 끌었다. 국민게임을 넘어 '민속놀이'라고까지 불리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도 종목에 포함됐다. 방식은 2:2 팀플레이다. 발달장애 학생과 비장애인 학생이 한 팀이 됐다. 의사소통은 음성 대신 채팅으로만 이뤄진다. 예전에 친구들끼리 모여 피씨방에서 그렇게 같이 게임하던 생각이 났다.
경기를 준비중인 학생에게 궁금했던 것들을 물어보았다. 이번에 같은 팀이 된 장애 학생과는 어떻게 팀을 구성하게 되었느냐는 질문에 그 학생은 대회인 만큼 각 학교의 '고수'들이 전략적으로 한 팀을 구성한 것이고, 같은 학교라도 반이 다르니 사실 원래는 잘 모르는 사이라고 했다. 대회를 준비하면서 가장 달라진 점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그 학생은 조금 생각하더니 "걔한테 장난을 칠 수 있게 된 게 달라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이들은 대개 그런 방식으로 친구가 된다.
소설가 성석제 씨의 단편집 '재미나는 인생'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기인 '골 볼'이 소개된다.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리나는 방울을 넣은 공을 갖고, 동료에게 내가 여기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쉴 새없이 '파이팅!'을 외치느라 경기가 진행될수록 점점 목이 잠기는 애잔함이 묘사되어 있다. 온라인 게임에서는 그런 애잔함 없이도 승리의 기쁨을 맛볼 수 있다. 장애인을 특정하는 불이익이 없고, 장애인이라고 무언가를 더 주는 일도 없다. 모두가 게이머이고 잘 맞으면 친구가 된다.
게임으로 장애와 편견을 넘는다거나, 인터넷 세상에선 장애가 없다는 수사보다 중요한 것은 장애인이건 비장애인이건 이 게임 축제를 통해 무엇을 얻어갈 수 있냐는 점이다. 이번에 마무리된 e페스티벌은 그러한 부분에서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여겨졌다.
기자들은 기업으로부터 얼마나 사회공헌을 열심히 하고 있는지에 대한 보도자료를 받곤 한다. 사회공헌은 그 자체로 좋은 일이겠지만 왜 하는지,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보이는 천편일률적인 사업도 적지 않다. 그 가운데 이같은 축제는 의미하는 바가 있어 보인다. e페스티벌이 내년에도 성공적으로 치러지길 바라본다.